수강후기

[지기11기 매1 운0진 손잡고 1오나요 잇츠나우] 성과를 만들어내는 투자자되기! (2주차 부자대디튜터님)

  • 23.08.15



안녕하세요! 부자가 되는 기회는 지금 잇츠나우 입니다:)


지난 8월5일 토요일 처음으로

정규강의를 오프로 들을 수 있었는데요!

운영진을 위한 깜짝 이벤트라고 하기엔

너무나도 행복했던 경험이랄까..!

넘넘 감사합니다..♡

2주차 부자대디 튜터님과 함께했던 첫 오프강의!

반장님들도 오프로 볼 수 있었고,

오프수강생분들의 열쩡 열쩡 열쩡을 맛볼 수 있어서

너무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ㅎㅎ


그리고 2주차 역시 지역을 이해하는 프로세스에 집중해 보았는데요!

그럼 빠르게 후기 갑니다!


STEP 1. 지역을 넓게 보고 세밀하게 파악하기

#지형 #도심개발방향 #입지가치


2주차를 지나 깨달은 지방 프로세스 중 하나는

지역의 지형을 알고, 도심의 개발 방향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1주차와 2주차 지역의 지형은 비슷하게 생겼어요.

산으로 둘러쌓인 분지형태!


그런데 1주차 지역과는 다르게

00지역은 중심부터 개발되었고,

중심접근성이 좋을 수록 수요가 있다는 점이 신기했습니다.


그래서일까요?

마치 계란 노른자처럼 단지 가격들도

중심부로 가까울 수록 가격이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초기에 지형과 도심개발 방향만 알아도

지역의 입지가치와 단지의 가격을 이해하는데 훨씬 도움이 된다는 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정리: 지역마다 지형 및 도심 개발 방향을 이해하고 입지가치 및 수요를 파악해보기.


◎ 깨달은 점 → BM할 것

첫수강> 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선호요소 알기

재수강> 임보쓰기 전, 지역이해의 방법으로 '2030 도심개발계획' 먼저 보고 도심변화과정 이해하기.


STEP 2. 공급으로 인한 변화를 살펴보기

#공급 전후의 분위기 생각 #리스크대비


00지역은 공급폭탄으로 현재는 착공예정이었던 곳들도

전면중단된 상태라고 하는데요!

실제로 그 지역에 방문했을 때도 여기저기 크레인이 올라가 있어

'변화하면 어떤 모습일까' 상상해보기도 했었어요.


현재 제가 다니는 곳도 재개발로 인한 공급이 많은데,

여기를 지날 때마다

'대단지가 새로 올라오면 주변은 어떻게 될까?'

'바로 앞 단지는 많은 영향을 받겠다.

생활권을 같이 하려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등

주변의 변화를 계속 곱씹어보게 되었습니다.


신축대단지가 들어오면 주변환경이 급격하게 변한다는 장점과

한편으론 신축대단지에 수요가 몰릴 수도 있어

생활권을 함께하는 인근 단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겠다는 우려,

그것이 반영된 가격인지아닌지 등 생각해보는 과정에서

그동안 어렵기만 했던 공급을 한층 더 쉽게 이해해 볼 수 있었습니다.


정리: 공급에 대한 리스크 대비로 입지변화 및 가격반영 고려하기!


◎ 깨달은 점 → BM할 것

첫수강> 공급 없는 쪽으로 피하면 되지않나?

재수강> 공급을 대비하여 입지와 가격을 분석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평가 되었는지 확인해보자!


STEP 3. 투자의 방향 잡기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투자자 마인드


며칠 전 단임을 하면서 입지를 메모하고

가격을 입혀보며 다른 위치인데 가격이 비슷한 단지들이 나올때마다

동료들과 어디가 더 나은지를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A단지는 신축이지만 주변에 아무것도 없네요. 그 주변이 개발되려면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아요.'

'B단지는 단지들 간 균질성이 좋네요, 상권은 좀 덜 활발하긴 하지만 곧 생기지 않을까요?'


A,B 중 당신의 선택은?!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어느새 자연스레 비교평가하고 있는 제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전에는 그저 단지의 외관만 보고 평가했는데

이제는 단지의 밖에는 무엇이 있는지 주변의 균질성 등을 보게 되었고.

그러다 넓게 구를 보게 되고, 광역시 전체를 보며

같은 가격이면 다른 구의 단지를 살 것 같다는 등의 결론을 내면서

'아, 앞마당이라는 것이 이런거구나

좋은 곳이든 안 좋은 곳이든 다 가보라는 뜻이 이런거구나'를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단지를 추리는 과정에서도

투자를 고려한 금액으로 단지를 추리다보니

매임가고싶은 단지도 빠르게 정리되었습니다.

우리는 투자하려고 여기 있는 거잖아요.

좋은 것을 추리는 게 아니고 투자할 수 있는 곳을 추리세요.

부자대디튜터님

정리: 단지 대 단지, 구 대 구, 광역시 전체 등 같은 값이면 좋은 곳을 추려내기. (투자자 마인드 장착!)


◎ 깨달은 점 → BM할 것

첫수강> 투자하기 위한 투자가능성 여부 판단하기, 나만의 1등 단지 뽑고 투자가능성 여부 확인하기

재수강> 단지분석 시 입지요소 입혀서 가격이 저평가인지 아닌지 판단! 투자할 수 있는 곳을 추려서 1등 뽑기





사실 전에는 00지역이 제 관심밖이었습니다.

당시에 싼 줄도 몰랐지만

공급이 너무 많아 '당연히 여긴안돼!' 라고

선을 그었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확실히 배웠습니다.


그 지역이, 그 동네가, 그 단지가

"싸다"는 것을 알려면

그 곳을 내 앞마당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요.

지역을 알지 못하면

기회가 와도 모를 것이라는 것을요!


그리고 부자대디님은

투자성과를 낸 적이 없었을 때는 앞이 보이지 않으셨다고 해요.

하지만 앞이 보이지 않아도 해야한다고 생각했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결국 성과로 만들어내셨다고 합니다.


저도 그동안은 공부하는 학생처럼 있었다면

이번 기회로 성과를 만들어내는 '투자자'로 거듭나보겠습니다!


강의가 끝날 때까지도 내내 여러분들이 정말 잘됐으면 좋겠다고

응원해주신 부자대디 튜터님 덕에

점점 더 열정이 뜨거워지는 것 같네요.


소중한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


테크형user-level-chip
23. 08. 15. 22:47

반장님 결론은 많은 앞마당 인가요? ㅎㅎㅎ 후기 잘봤습니다~ 이번주도 고생하셨네요. 남은기간까지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