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실전반 25기 [강의신청]
잔쟈니

투자는 좋은 물건을 싸게 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제 값을 찾아갈 때까지 보유하고, 매도 후 더 좋은 투자로 이어가는 것.
매수, 보유, 매도 모두 투자임을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매수프로세스
가치 대비 싼 단지는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만 해봤지 실제 매수시 어떤 과정을 거쳐야하는지는 제대로 알지못했습니다. 가계약부터 잔금까지의 과정을 정말 하나하나 뜯어서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았습니다. 특히 잔금은 어떻게 치는 거지하고 궁금해왔었는데 강의를 통해 다 해결됐습니다.
BM
특약 초안 준비하기
세입자 계약 시, 직접 얘기 나눠보기
KB시세와 친해지기. 전세가 임의설정
□보유프로세스
매수 후 몇 바퀴 돌리다가 조금 오르면 파는 거 아닌가 막연하게 생각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보유도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됐습니다. 싸다면 계속 보유하는 것. 그렇게 보유하면 제 값을 찾아간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오늘도 가치와 가격 그리고 앞마당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야 제 물건을 보유해야할지 말지 알 수 있으니까요
BM
집의 수선, 유지는 어디까지 해줘야하나?
투자자라면 역전세는 피할 수 없다는 것
□매도프로세스
내가 가진 물건 보다 더 좋은 물건이 있으면 팔아도 된다. 라고 문장 그대로만 알고 있었는데… 매도의 성공 여부는 팔고 뭘로 바꿨는지에 따라 결정된다는 말씀에 띵-! 결국 매수를 하든, 보유를 하든, 매도를 하든 중요한 것은 하나다. 가치 대비 싼 물건인가?
BM
매수하기에 싼 물건인가? 보유하기에 아직 싼 물건인가? 더 싼 물건이 있어서 매도하는 것인가?
물건 100개를 봐야 1개를 찾을 수 있는 것 같다.
실패했을 때, 실수했을 때, 못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 어떻게 방법이 없을까?하고 고민하는 사람이 되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