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동그란마음] 보도새펴의 돈 독서후기

  • 24.10.09

안녕하세요, 투자자로 성장중인 동그란마음입니다.

 

보도 섀퍼의 돈 독서후기를 남깁니다.

 

보도 섀퍼씨는 경제적 파산까지 갔지만 멘토를 만나 돈에 대한 관점을 달리하면서 경제적 자유에 이른

제가 목표하는 목표를 이미 이뤄본 진정한 부자입니다.

 

이 책을 통해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경제적 자유로 이루기 위해선 투자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아는 것 뿐만 아니라 내가 갖고 있던 잘못된 신념을 바꾸고 이를 통해 근본적인 행동 방식을 바꿔가야 한다

점 이였습니다.

 

월부에 들어와 열기를 듣기 전까지 저는 "나는 투자로 돈을 벌 수 없는 사람이야. 나는 근로 소득으로 자산을

쌓을 수 있지 투자엔 소질이 없어"라는 잘못된 신념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잘못된 신념을 바꾸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었는지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수많은 투자기회를 떠나보내고 좌절감을 남겼는지 돌이켜 보며 23년 이후로 제 생각의 많은 부분들이 바뀌어 왔고 스스로의 미래를 책임지기 위해 행동하고 있는 중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자본주의에 살아가며 남들이 보장해주는 나의 미래를 막연히 기대하거나 바라지 않고 은퇴 이후의 삶을 내 스스로

보장해 나가는 것내 삶을 내 스스로를 책임지는 자세임을 배울 수 있었고 돈은 언제나 우리가 부여한 만큼 의미를 갖으며 우리가 돈 문제로 곤란을 격는 동안 돈은 필요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되어버림을 깊이 공감하였습니다. 

 

역설적으로 돈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마음의 안정을 갖으며 내가 열정을 갖고 힘하는 일에 집중하기 위해선 경제적 에어백 → 경제적 안정 → 경제적 자유로 이르는 길로 향해야 하며 각 과정을 달성하며 발생한 초과수익으로 더 높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산을 형성해 간다면 경제적 안전장치를 해치지 않고 투자를 이어갈 수 있는 투자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보도섀퍼의 돈 독서 과정에서 기록에 남겨 자주 보고 싶은 내용들을 남겨봅니다.

  1. 스스로 책임지는 사람만 부자가 된다.
    1. 본 것
      1. P49. 모든 책임은 항상 나 자신에게 있다. (중략) 다른 사람이 저지른 행동에 대한 책임이 당신에게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에 따른 대응에 대해선 책임이 있다.
      2. P50. 모든 사건에 대한 책임이 당신에게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하느냐에 대해선 항상 책임이 있다.
      3. P53. 아무리 싫다고 버둥거려도 우리는 책임을 피할 수 없다. 우리는 주어진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4. P56. 남에게 책임을 미루는 것은 그 사람에게 권한을 넘기는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말라. (중략) 책임이 있는 사람에게 권한도 있다는 생각은 안 하는가? 바로 이 때문에 나는 모든 책임을 기꺼이 나 자신에게 돌린다. 내 삶에 대한 권한을 나 스스로 행사하고 싶기 때문이다.
      5. P60. 당신이 직접 관리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것들이 있고(관리의 영역), 관심은 있지만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개인적 세계). (중략) 당신의 개인적 세계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든, 그것에 어떻게 반응하고, 그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전적으로 당신 책임이다.
      6. P60. 우리는 현재의 관리 범위 크기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 (중략) 부나 행복은 우리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가 커지는 과정에서 생긴다. (중략) 상황이나 다른 사람에게 미루는 순간, 언제나 권한도 함께 넘어간다.
      7. P61. 자신의 상황을 개선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만 있으면 우리는 당장이라도 그것을 실행에 옮길 수 있다. 해결책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나온다. 우리는 자신의 개인적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대해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우리의 관리 영역도 함께 확장된다.
      8. P62. 안전지대를 벗어나는 것이 자연스러워지고, 그래서 우리에게 다가오는 모든 도전을 더 크고 새로운 도전으로 받아들일 줄 알게 되면, 우리의 관리 영역은 급속도로 확장된다.
      9. P63. 모든 문제는 성장의 기회를 동반한다. 우리가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나’ 라고만 묻는 것은 별 소용이 없다. 아울러 우리는 ‘이런 문제가 더 이상 생기지 않도록 하려면 어떤 상황을 만들어야 하나’ 라고도 물어봐야 한다. 이 새로운 상황이란 곧 관리 영역의 확장을 의미한다.
      10. P64. 문제를 피해서는 부와 행복을 얻을 수 없다. 남보다 돈을 더 많이 갖고 싶은 사람은 그만큼 더 많은 문제와 싸워야 한다.
      11. P64.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라고 자신에게 물어라. 질문이 삶의 질을 결정한다. (중략) 질문의 올바른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나는 그것을 왜 해야 하는가? 할 것인가 말 것인가, ‘예스’인가 ‘노’인가?
        2. 어떻게 그것을 할 것인가? 다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그리고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2. P70. 돈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 (중략) 당신이 돈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아 어려운 상황에 몰리게 되면, 그 때야말로 돈은 필요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되어버린다. 다시 말해서, 돈이 당신 삶에서 너무 높은 위치를 차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뜻이다. 바로 그 때문이라도 당신은 평소에 돈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중략) ‘우리들의 현명한 행동은 삶의 동반자가 되어 우리를 기쁘게 하고 도와준다. 마찬가지로 우리들의 어리석은 행동 역시 우리를 쫓아 다니며 괴롭히고 고통스럽게 한다.'
      13. P72. 어제 내린 결정이 오늘을 만들고, 오늘 내린 결정이 미래를 만든다.
    2. 느낀 것
      1. 나에게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선 내 책임이 없지만,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하는지는 내 책임을 배울 수 있었으며 스스로 주체가 되어 대응해 나가고 해결하는 것이 관리의 영역으로 만드는 방법임을 배울 수 있었음
      2. 부자가 된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문제를 많이 해결해 주는 것! 개인적 세계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대응함으로써 부와 행복을 얻을 수 있음
    3. 적용할 것
      1. “모든 사건에 대한 책임이 당신에게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하느냐에 대해선 항상 책임이 있다.”는 말을 늘 상기하며 주체적으로 대응해 나간다. 또한, 더 큰 행복과 부를 가져 오기 위해 관리영역을 넓히는 네 가지 길을 실천해 나간다!
        1. 안전 지대를 벗어난다.
        2. 문제를 성장의 기회로 삼는다. 그리고 이런 문제가 더 이상 생기지 않도록 하려면 어떤 상황을 만들어야 할지 자문한다.
        3. 질문을 제대로 던진다. 이미 한다고 결정했다면 왜가 아닌 어떻게에 집중하며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상기한다.
        4. 개인적 세계관을 넓혀간다. 이건 내가 신경 쓸 일이 아니야 → 나와 연관된 부분부터 확대해 나가자!

댓글


동그란마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