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1.강의를 듣는 태도
4주차 강의를 들으며 머리가 띵했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정작 중요한 포인트를 놓치고 있었기 때문이죠.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는데 급급해서
‘이 지역을 어떻게 생각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지’
‘지금 이 지방 지역이 싼 지 비싼지‘
‘이 지역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멘토님들은 어떤 관점으로 지역을 바라보는지 신경쓰지 못했습니다.
한번 더 강의를 들으며 멘토님들의 눈을 따라 지역을 바라보는 눈을 따라가봐야겠습니다.
그리고 하나 더 배운 것이 있다면 복습을 위해 강의를 멈추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저 역시도 강의 내용을 다 소화하지 못했다는 생각에 다음 강의를 잠시 멈출까 고민했었습니다.
하지만 탱자탱자 놀고 있을 게 안 봐도 비디오기 때문에 바로 다음 강의를 신청했습니다.
지역분석 강의는 완벽하게 숙지하려고 듣는 것이 아니라,
지방투자할 때 방향성을 정하기 위해 듣는 것임을 알게 됐습니다
▶ 다음 서기반 전까지 200% 만들기
▶ 복습을 위해 강의를 멈추지말 것
2. 기준
지기를 들으며 제 임장지의 개별성은 무엇인지 고민해봤습니다.
여기는 연식이 중요할까? 중심접근성이 먼저일까? .
애매한 것도 많고, 모르는 것도 많아서 정답을 찾기 쉽지 않더라구요
그렇게 임장지를 헤매다가 뒤늦게 강의를 듣게됐는데요.
그제서야 강의에서 말씀하시는 입지요소들이 보이더라구요.
‘아, 그래서 이렇게 생각하셨구나, 이렇게 보는 거구나’
뿐만아니라 단지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는데요.
그 깨달음을 통해 두 가지 질문을 추려봤습니다.
다음 임장지에 가서도 위 물음에 대한 답을 찾으려 움직이겠습니다.
▶지방의 입지요소와 단지의 선호도 찾기
▶도시의 발전방향을 통해 어느 지역이 선호도 있고, 앞으로는 어디가 더 좋아질지 예측해보기
▶시세트래킹 적용해보기!
3.돈, 시간, 관리
마지막 돈, 시간 관리는 바로 BM할 것들을 남기겠습니다.
▶연 얼마를 저축해야하는지 기준이 딱 생겼습니다.
▶임보는 1장 10분
▶다음 임장때는 캘린더 적용하기
▶자기통제/자기확신/동기부여 모두 가져가기
댓글
패스워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