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BEONE MINDSET 세상은 단독자를 원한다]
<P. > 변화와 성장은 두 가지에서 온다. 진정한 절실함, 손실본능을 극복하는 용기.
( => 절실함 앞의 “진정한”이라는 필터에 방점을 찍어본다. )
<P. > 집단의 반대편에 서는 존재를 키에르케고르는 ‘단독자’라고 칭했다.
<P. > ‘집단 속의 나와 이별하는 연습’~~무리에서 역행할 용기.
<P. > 자본가는 시간을 사기 위해 돈을 번다.
[2단계 MAKING MONEY 소득의 단위를 바꿔라]
<P. > 자본주의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P. > 결국 두려움을 이기는 힘은 익숙함이다.
<P. > 줄을 서는 사람이 아닌 줄을 세우는 사람이 되라.
<P. > 운은 능동적으로 몰입하는 사람에게 온다.
<P. > 몰입의 동굴 속 시간을 경험한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특권.
[3단계 SAVING MONEY 증발하는 돈을 자본화하라]
<P. > 24시간 동안 생산자의 뇌로 살아보라.
[4단계 PROTECTING MONEY 공부하고 실행하라]
<P. > “모든 것의 시작은 위험하다.”-프리드리히 니체
[5단계 MULTIPLYING MONEY 인플레이션의 속도를 추월하라]
<P. > 기회는 ‘끝까지 살아남은’ 소수에게 돌아간다.
<P. > 자본주의는 ‘시간당 노동의 가치를 누가 빨리 키우는가’의 게임.
'지는 게임' 안에서의 성실함은, 적어도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아무런 힘이 없다.
[6단계 MAKE MONEY WORTHWHILE 사회적 가치를 더하라]
<P. >계단식 성공을 추구하면 오르다가 미끄러지더라도 그 전단계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다.
<P. > ‘충분한 돈’은 시간으로부터의 자유를 얻을 수 있는 정도의 돈이다.
<P. >돈과 시간으로부터의 자유를 원하는 사람은 많지만, 그것을 위해 하루의 시간을 꾸준히 투자하는 사람은 드물다.
; 경제적 자유란, 결국 시간적 자유를 위한 전제조건이다.
1) 집단 속의 나와 이별하는 연습
=> 기존 집단 속의 나와 이별하기 위해,
“단독자”로 성장할 수 있는 집단의 문화에 들어가 몰입하자.
탁해진(?) 물을 깨끗하게 하는 방법이, 깨끗한 물을 계속 주입하는 것인 것처럼.
2) 줄을 세우는 사람
=>어떤 줄을, 어떻게 세울 것인지 고민해 볼 과제.
<P. >돈과 시간으로부터의 자유를 원하는 사람은 많지만, 그것을 위해 하루의 시간을 꾸준히 투자하는 사람은 드물다.
댓글
아모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