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적인 사견이 들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서울의 주택 공급을 위해 서울에 지정되어 있는
그린벨트를 해제하여 공급을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약 150km의 면적에 형성되어 있는 그린벨트 지역은
기간과 비용적인 면에서 유리하여 사람들의 주택 구매
수요를 조금은 가라앉힐 수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
약 20여년 전 세곡, 자곡 등의 지역에 공급을 통해
집값 안정화를 했던 경험이 있기에 현재 지정된
그린벨트 지역 중 강남권 이동이 용이한 지역의
그린벨트 해제 및 주택 공급은 꽤나 효과가
있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3.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등의 지역의 공급이
유의미하다고 생각하며 종로나 성북구 지역은
문화재가 있는 곳이라 해제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4.
해제가 된 지역의 공급 방식에 관심을 가질만 하다고
생각되며 기존 기조대로 공공 주도로 할지 아니면
민간 주도로 할지가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됩니다.
공급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지만 가능하다면
사람들이 선호하는 민간 주도의 공급이 진행된다면
공급이 완료될 때까지 매수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것 같습니다.
5.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수도권 외곽이 아닌 서울,
그리고 커뮤니티 등 좋은 시설을 가진 주거지라고
생각합니다.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주거에 대한 욕망이 과거와
달리 크게 달라졌지만 그에 맞는 주거지 공급은
오랫동안 원할하게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6.
주택 가격의 핵심은 수요, 수요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지만 지금까지의 상황을 봤을 때 서울 아파트에
거주하고자 하는 수요는 상승하고 있고 이에 맞는
공급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서울 외에도 인접한 경기 지역에 굉장히 큰 규모의
그린벨트가 있고 이들 지역에 공급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만약 그린벨트 해제에 따라 공급이 확정 된다면
과거 사례를 통해 집값 흐름을 분석해보고
가격이 주춤해진 상황에서 투자 기회를 잡아보는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