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조모니입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50주 연속 상승하고 있다는
기사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서울 적정 공급량 4.8만을
한참 못미치는 공급으로 인해
전세난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인데요.
KB시계열 자료를 살펴보면
서울 전체 전세 증감은 0.10%이며
2023년 7월 이후로
상승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각 구별로 살펴봐도
전세증감률이 하락하는 곳이
단 한군데도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서울 전세 상승
가장 하락이 심화되었었던
23년 초 대비
전세가 과연 얼마나 올랐을 지,
서울 주요 구 랜드마크를 비교해보며
현 시장을 가늠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합니다.
*모든 가격은 전용84기준입니다*
📑 1급지
-강남,서초,송파,용산-
강남 래미안대치팰리스 1.9억 상승(현16.9억)
서초 아크로리버파크 1.9억 상승(현14.5억)
송파 리센츠 1.8억 상승(현10.4억)
용산 한가람 1.9억 상승(현10.5억)
1급지
강남서초송파용산 랜드마크는
23년 초 저점이후
약 2억정도 전세가 상승했습니다.
📑 2급지
-강동,성동,마포,광진,양천-
강동 고덕아르테온 1억 상승(현 6.6억)
성동 트리마제 2억 상승(현 20억)
마포 e편한세상마포리버파크 1.7억 상승(현11억)
광진 광장힐스테이트 1억 상승(현12억)
마포 성동의 경우, 약 2억
강동 광진의 경우, 약 1억 정도
전세가 상승이 이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강동구 고덕의 전세가
정말 싸네요..ㅎㅎ
📑 3급지
-영등포, 중구, 종로, 동작-
영등포 당산센트럴아이파크 2억상승(현10.5억)
중구 서울역센트럴자이 1.4억 상승(현6.9억)
종로구 경희궁자이 9천만원 상승(현 11억)
동작구 아크로리버하임 3.5억 상승(현10.3억)
동작구 아크로리버하임이
3억이상 상승한 것을 제외하면
3급지는 1억~2억정도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4급지
-서대문,동대문,관악,성북,노원,강서-
서대문 e편한세상신촌 2억상승(현8.3억)
동대문 래미안크레시티 9천만원 상승(현7.0억)
관악 e편한세상서울대입구 2.3억 상승(현7.0억)
성북구 래미안길음센터피스 1.8억 상승(현9.0억)
노원구 청구3차 1.5억 상승(현7.1억)
강서구 마곡엠밸리7단지 2.1억 상승(매물x)
4급지는 동대문구를 제외하면
1억중반~2억정도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5급지
-도봉,강북,중랑,은평,구로,금천-
도봉 북한산아이파크 5천만원 상승(현5.0억)
강북 미아동부센트레빌 5천만원 상승(매물x)
중랑 e편한세상화랑대 2억 상승(현6.35억)
은평 녹번역e편한세상캐슬 1.2억 상승(현7.5억)
구로 신도림4차e편한세상 1.8억 상승(매물x)
금천구 금천롯데캐슬골드파크 1.8억 상승(현6.5억)
5급지 랜드마크 중
연식이 빠지는 도봉구, 강북구는
약 5천만원 정도 올랐지만
신축이 랜드마크인
중랑구, 은평구, 구로구, 금천구의 경우
1억~1억중반정도
전세가가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급지에 관계없이
신축이라고 하면,
전세가가 23년초대비 1년동안
약 1억중반~2억정도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세가
10억이상
강남 서초 송파 용산 성동 마포 광진 영등포 동작구
9억대
성북
8억대
서대문
7억대
동대문 관악 노원 은평
6억대
강동 중구 중랑 금천
5억대
나머지
특히 강동구 중구의 랜드마크 전세가가
꽤 저렴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서울 각 구 랜드마크의 전세가와
어느정도 전세가가 상승했는지를 알아보았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