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내마중 7기 12조 다누리다입니다 :)
1주차 강의는 첫날 완강을 했지만
과제는 생각보다 오래 걸렸어요.
한 지역만 하기엔 비교대상이 없어서
집 주변 지역과 이번 조원들과 앞마당 대상지역과 함께 리스트 정리를 해봤어요.
리스트 정리하기 전까지는
급지에 대한 이론적 이해만 있었지
실제로 어떻게 나눠지는지 잘 몰랐었는데
막상 정리해보니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앞마당의 중요성을 또 한번 깨닫는 시간이었습니다.
< 1주차 과제 >
1) 내 종잣돈으로 전세 끼고 매수할 수 있는 아파트 찾아보고 리스트 정리하기
2) 내 종잣돈 + 1억으로 전세 끼고 매수할 수 있는 아파트 찾아보고 리스트 정리하기
-> 구로구에 살고 있지만 정작 구로구에 대해 잘 몰라서 구로구를 1순위로 정리함.
-> 집이 주소상 구로구에 속해 있지만 관악구와 밀접해서 관악구를 2순위로 정리함.
-> 조원들과 임장지역으로 선택된 성동구를 3순위로 정리함.
*80년대식 아파트는 제외함.
*200세대 단지부터 포함함.
(구로구)
(관악구)
(성동구)
해당 지역에서 내 종잣돈으로 전세끼고 매수할 수 있는 단지는,
*기준가 25%하락 적용 대상: 개봉아이파크(3/2), 구일우성(2/1), 신도림동 현대(3/2)
2.관악구)
*기준가 25%하락 적용 대상: 블루밍(3/2), 봉천동 신봉(3/1), 관악산휴먼시아2단지(4/2), 건영1차(2/1), 건영3차(2/1)
3.성동구) 없음.
*기준가 25%하락 적용 대상: 응봉동 신동아(2/1-25py)
단지 조사 전에는 구로구에만 있을 줄 알았는데 관악구에도 있어서 놀라웠다..!!
+1억으로 하니깐 수가 더 많아졌다..
하지만 3억으로 해당지역을 투자하기엔 아깝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 부분은 타지역을 더 넓혀서 조사를 해야 할 것 같다.
그럼 해당 종잣돈 내에서 세부적으로 정리를 해볼까??
> 방2개 기준으로 정리
구로구 4억 후반대/ 관악구 4억 후반대/ 성동구 7억 중반대
> 방3개 기준으로 정리
구로구 20평대는 4억후반대, 30평대는 5억중반~6억 중반대/ 관악구 5억 초반대/ 성동구 9억
(구로구 )
(관악구)
(성동구)
해당지역은 다 임장을 하지 못한 곳으로 가격으로만 선정하기엔 애매하였다.
종잣돈을 기준으로 하고 기준 여부에 충족되며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선택한 곳으로 4단지가 눈에 띄었다.
그 중 봉천동 벽산블루밍1차는
세대수도 많고 입주연도도 그나마 최근이라 임장을 꼭 해봐야 할 것 같다.
단지 전수조사를 해보면서
전고점이나 전저점의 기준을 찾는게 어려웠지만
단지를 지도와 함께 보면서 왜 이 가격이 형성됐을까?를 고민하면서 보니깐
확실히 선호도가 높은 곳의 거래량도 많고 가격대도 높게 형성되었다.
같은 평형대라도 방2개와 방3개의 선호도가 다른 것도 알 수 있었다.
급지 상관없지 내 주변 지역과
이번달 임장지를 함께 비교해 보니
왜 급지가 나눠졌는지가 명확이 보였다.
성동구는 정말.. 넘사벽 처럼 느껴졌다.
1억이라는 종잣돈이 적으면 적고
많으면 많을 수 있는데
이 소중한 자산을 허투로 쓰지 않기 위해
더 많은 임장과 분석이 필요한 것을 더욱 느끼게 된 시간이었다.
타 지역의 단지 조사도 함께 이뤄지면서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가봐야겠다는 다짐을 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