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0세대 이상 대부분 단지(유의미해 보이느 것은 100세대 이하도 접근함)
2. 평형은 공급 면적 기준
3. 매매는 현재 시점 저층 제외 네이버 호가 기준/전세는 네이버 시세와 호가 중 낮은 것 기준
4. 전고점은 특별한 경우(특수하게 높은 하나의 거래) 제외하곤 가장 높게 거래된 가격/전저점은 하락 직후 두번째로 낮은 가격(직거래, 저층 제외 목적)
5. 최대 하락률 = 전고점 대비 전저점까지 하락률
6. 상승률 = 전저점 대비 현재 네이버 매도 호가 상승률
7. 하락률 = 전고점 대비 현재 네이버 매도 호가 하락률
8. 기준가 = 전고점 대비 25% 하락한 가격(기준으로 삼을 매수가)
(마포구 지역이 전저점대비 많이 회복된 상태.....전고점 대비 15% 하락을 기준으로 넓힘)
9. 세대수가 적어 매물이 없거나, 신축이라 전고점, 전저점으로 볼 수 있는 거래 없을 경우 비워둔 것
*종잣돈 파악후 시세표에서 종잣돈+1억까지 조사확인!!*
*현 종잣돈 상황이 아니더라도 하락기준에 맞고 관심있는 단지 추가 트레킹!!*
전수조사후 느낀것!!
전저점대비 대부분의 아파트들이(특히 선호아파트) 가격이 많이
회복이 되었고 하락-25%인 단지들은 찾아볼 수 없었다!
하락후 매매가 이루어지다보니 매도자는 호가를 높여
집을 내놓은걸로 보이고
매수자는 높아진 가격에는 거래를 희망하지 않는것으로 보여진다.
매도 매물에 비해 전세매물은 많이 없으나
예전 떨어진 전세가에 아직은 머물러 있는것으로 보여진다.
매매가 어떤 가격에 거래가 되는지
전세는 어느정도로 올라가 거래가 되는지 주의깊게 봐야할 것 같다.
아직 마포구 분위기 임장 전인데
되도록 빠른 시일안에 가봐야겠다^^
가정의 달 5월........빡쎄당!!!
댓글
세하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