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종자돈과 소득 확인하기
2단계. 정책대출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기
◆ 보유주택이 1채 있다보니, 디딤돌대출, 특례보금자리론 모두 해당되지 않았습니다.
3단계. 내 소득으로 감당가능한 대출액 확인하기
◆ 세후소득액을 감안하여 감당가능한 대출액을 산출하였습니다.
4단계. 대출 종류별 한도 적용한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 일반대출만이 가능한 조건이라서 소득한도에 따른 일반대출 가능액을 산출하였습니다.
5단계. 규제지역별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 소득대비 대출가능금액이 작다보니, 규제지역과 비규제지역의 일반대출한도의 차이가 없이 동일하게 나왔습니다.
8단계. 최종 예산 확인하기
◆ 종자돈과 최종 대출가능액 등을 산출하여 최종 운영 가능한 예산을 도출하였습니다.
※ DSLR 점검하기
◆ 주담대 대출외에 DSLR 40% 이내로 가능한 신용대출 금액도 산출해 보았습니다.
◆ 내집마련 총 예산 68천만원으로, 예산 100~120%까지 감안시 보라색 박스 지역이 가능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 단, 주요 생활권이 서울 동남권인 것을 감안하고, 1인 세대라서 25평형보다 작은 평수도 거주용으로 가능하기에
성동구, 강동구 등 예산 안에 들어오는 아파트는 모두 후보안에 넣었습니다.
강동구 지역권 중, 68천만원 보다 20%정도 높은 8억이하 아파트를 찾았을 때
다음과 같은 아파트들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강동구 보다 하급지인 동대문구의 경우는 예산안에 들어오는 더 많은 아파트들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1) 예산안을 세우면서 월소득이 적다보니 대출가능액이 너무 적어서 안타까웠습니다. 지출을 줄이든, 소득액을 늘리든 해서 종자돈의 규모를 좀더 키워야할 것 같습니다.
(2) 주요 생활권이 서울 동남권 지역이고 통근거리 1시간이내에서 투자와 거주를 같이 할 수 있는 집을 찾다보니, 가능한 아파트들이 너무 오래되거나 평수가 작아지게 되어서 마음에 드는 집을 찾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후보단지 선정을 해보긴 했지만, 이 중에서도 무엇이 더 좋고 적합한 것인지 아직은 감이 오지 않습니다. 계속 강의를 들으며 임장도 해보고 단지별로 좀더 깊이있는 조사를 해서 적합한 아파트인지 아닌지를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할 것 같습니다.
(3) 거주 만족도를 고려했을 때, 서울권이 아닌 경기도 동남권(하남, 구리, 남양주, 성남 등) 지역은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서울권외 주변 수도권 지역에 대해서도 확장해서 공부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1주차 강의를 통해서 내가 부동산 투자에 대해서 얼마나 안일하고 주먹구구식으로 생각하고 접근해 왔는지 깨닫게 됩니다. 나머지 강의들도 잘 듣고 과제도 성실히 수행해서 내년에는 꼭 성공적인 내집마련을 하고 싶습니다.
이상,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