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53조 서마(=서울에내집마련하기) 입니다.
저는 우선 강의 내용 중에서 디딤돌 대출 - 싱글 미혼 30세 이상 조건으로 대출 받는다 - 는 조건으로 가정해서
3억 이하의 아파트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종잣돈과 제 세전/세후 소득을 합친 금액을 구해보고
디딤돌 대출 대상 여부 Y 로 체크되는 걸 확인한 뒤
1억 8천 정도의 대출이 필요합니다.
디딤돌 대출 - 미혼 30세 이상 이면 1.5억까지만 대출이 가능해서,
실제 대출을 일으키려면 아마 나머지 3천~4천만원의 금액은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해야 할 것 같아요.
우선 엑셀 시트에서는 신용 대출로 수식이 잡혀 있길래
디딤돌 대출 (금리 3.1%) 1.5억 + 신용 대출 (금리 6%) 3천 으로 잡아보았더니 아래와 같이 나왔습니다.
디딤돌 대출은 DSR과 무관하게 나온다고 하셨지만.. 위 수치를 보니 DSR 51%면 꽤 많이 나오는 건가요..?
신용대출 금리가 정말 높습니다...실제 집을 구매한다면 나머지 3천~4천만원의 금액은 특례보금자리 대출 or 특판 저금리 일반 대출로 알아볼 것 같아요!
그리고 네이버 부동산 지도에서 후보 지역들을 선정했습니다.
딱 3억 이하의 집들로 열심히 찾아보았어요.
(좀 괜찮은 아파트다 싶으면 중간중간에 3.2억, 3억 500, 3억 1000등 살짝 넘어가는 것들도 함께 넣어두긴 했습니다ㅋㅋ)
네이버 부동산 지도를 열심히 찾아보면서 든 생각은
'23년 2~5월 즈음이 정말 바닥이었구나... 그 때 이 물건들 샀으면 정말 싸게 잘 살 수 있었겠다..' 하는 아쉬움과,
그 때만 해도 부동산에는 관심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부동산과 경제는 늘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겠다' - 는 반성과 깨달음을 함께 하게 됐습니다.
그리고 리스트를 정리하면서 보니, 어떤 집들은 전세가 빨리 회복하고, 어떤 곳은 매매가 빨리 회복하고, 어떤 곳들은 전세가 별로 오르지 않고.. 이런 걸 보면서 기준이 뭘까? 싶고 더 공부하고 싶은 마음도 생겼습니다.
빨리 해당 동네들 나가서 분위기나 교통, 입지 등도 다 직접 보고 분위기를 느껴보고 싶기도 하구요! :)
마지막으로 종잣돈과 소득이 참 중요하다는 걸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소득의 크기를 좀 더 높일 수 있을까? 어떻게 나의 몸값을 높일까?도 함께 고민해봐야겠어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