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분석

[내마반 39기 14조 1생 일대 기회 내마반으로 4다리 타조 ~ 짓다] 1주차 과제 제출

23.10.18

[1] 예산 확인


01) 종잣돈과 소득수준 파악하기

올해 1월 부터 자산 현황을 포함한 가계부를 작성하고 있어서 종잣돈과 소득 파악하는데는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02) 소득으로 감당할 수 있는 대출한도

주택금융공사 정책대출(디딤돌, 특례보금자리)에 해당이 되지 않아 바로 다음 단계로 넘어갔습니다.


생활비 항목은 내 집 마련(아파트 기준) 시 대출을 제외한 관리비 항목들이 조금 더 늘어날 수 있겠다고 판단하여 현재 쓰고 있는 생활비에서 +@ 로 계산하였습니다.


강의를 수강하기 이전에 <스스로 정한 대출 금액>보다 <(보수적인) 감당가능 대출금액>이 조금 더 많이 나와서 이전에 정한 금액은 더 보수적으로 잡았던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현재 갈 수 있는 지역, 내가 원하는 매물의 가격이 적정한 지 고려하여 <(보수적인) 감당가능 대출금액> 을 최대치로 보고 유동적으로 금액을 정하려고 합니다.



03) 최종 예산 확인하기

현재 예산으로 최종 대출가능액과 최종 예산을 확인하였습니다.



[2] 후보지역 선정


01) 매수가능지역 중 나에게 맞는 지역 선정

제공해주신 전국 평당가 자료를 바탕으로 예산 범위 내의 평균 매매가를 확인하고,

현재 직장과의 출퇴근 거리(지하철기준-1시간 이내)를 고려하여 서울 지역 내 3개 지역으로 추렸습니다.


02) 매수가능 단지 리스트업 - 네이버부동산 이용


네이버 부동산에서 <아파트 / 매매 / 예산(+20% 포함) / 20~30평 / 500세대 이상 / 방 3개 > 필터를 적용하여 검색하였습니다.


03) 매수가능 단지 리스트업 - 최종 후보지역 선정

이전에 관심을 갖고있던 단지도 있었고, 추가된 단지도 있었습니다.

추가된 단지는 이전에 분위기임장도 갔던 동네를 더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가하여 시야를 넓혀나가는 계기로 삼으려고 합니다.

리스트에 있는 단지들 중 직접 가본 곳은 장,단점이 명확하고 특성도 명확해서 결정을 내리기가 어렵다고 판단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다시 한번 임장을 가보고, 전고점 대비 -25% 라는 기준을 잡고 꾸준히 눈여겨 보려고 합니다.



[3] 느낀 점


강의를 듣기 전에 책, 유튜브를 통해서 스스로 대출 가능 금액을 산정해보고 그에 따른 예산 결정, 후보지 선정 등의 과정을 겪고 있었습니다. 부동산 및 투자에 관해서는 문외한 인지라 기준을 삼기가 어려웠는데 이번 1주차 강의 및 과제를 통해 혼자서 겪은 과정을 보완하고 자기 확신을 더 가지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남은 강의 및 과제를 통해 내 집 마련에 한걸음 더 가까이 갈 수 있도록 더욱더 발전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댓글


짓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