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현재 저의 종잣돈과 소득을 기준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설정]
1인 가구
종잣돈 1.6억
직장 : 가산
1단계. 종잣돈과 소득 확인하기
2단계. 정책대출에 해당되는 지 확인하기
1인 가구 설정이므로, 신생아특례대출 → 부적합
디딤돌은 신혼부부로 혼인신고 전임으로 연봉 6천 이하여야한다는 조건 → 부적합
기존보금자리 → 대출 검토 가능 (단, 주택가격 6억 이하여야 함)
3단계. 내 소득으로 감당가능한 대출액 확인하기
감당 가능 대출금액 : 3.1억
4단계. 대출 종류별 한도 적용한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정책대출 중 기존보금자리대출과 일반 대출이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치만 강의에서 인터넷뱅크에 대한 저렴한 금리를 감안해 확인한다면 일반대출이 더 유리할 수 있다.
금리 비교가 필요하다.
5단계. 규제지역별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종잣돈 1.6억
비규제지역의 집 매수 시, 대출한도 3.85억(70%)
실제 투자가능금액은 3.1억으로
현재 거주지에 별도 비용이 없는 관계로 굳이 실거주를 옮겨가며 감당하기엔 자산 증축 관점으로 아쉽다.
6단계. 매매가 한도별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방공제 전 서울 매수 목표 시 5500만원 제외 예정, 경기 외곽의 경우 2800만원 제외 예정
7단계는 6억 이상 주택 구매 불가하므로 미해당. 일반대출로 확정
8-1단계. 최종 예산 확인하기
최종 예산 4억 후반.
현재 거주지보다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내집마련이 될 수 있는 가격. 입지가치 있는 지역으로 거주분리가 더 유리하다.
※ DSR 점검
월별 대출 상환액 38% → 여유 없이 예상액에 적합함.
1인가구로서 검토해본 결과,
현재 실거주로 머무는 곳은 부모님의 영향에 감사하며, 거주분리(투자)로 접근하는 것을 검토해봐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