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분석

[내마중 17기 우리의 1픽단지 5를일만 남았조 채비아] 1주차 과제 (예산계산)

  • 25.05.13
  • 내집마련 예산계산기 자료를 작성한 최종 화면 이미지 첨부해보세요.
  • 예산을 공개하기 부담스러우시다면 가리기 처리하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성장하는 투자자 채비아입니다!

 

‘내 집 마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예산 정하기.

이 예산에 따라서 선택의 범위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일텐데요.

어떤 단지를 매수할 수 있느냐가 결정되기도 할 뿐더러

상승장에서의 시세차익의 정도도 달라질 것이고

하락장에서도 ‘내가 과연 내 삶을 유지하면서 버틸 수 있느냐’도 결정하기 때문에

오래 투자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가장 중요한 단계를 1주차 과제로 주신 게 아닐까 싶습니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1. 거주보유 분리를 하고 1호기 매도했을 때
  2. 2호기를 신생아특례로 바꿔 거주하고 1호기를 3호기로 바꿨을 때
  3. 1호기, 2호기 모두 매도하고 3호기를 가장 좋은 것 하나로 바꿨을 때

3개의 시나리오를 써보며 현재 시점에서 내게 가장 좋은 선택지는 무엇인지를 봤던 것 같습니다.

 

사실은 현재 새로이 매수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긴 하지만,

이번 예산표를 통해 각각의 시나리오를 그려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저희 가정을 기준으로 계산해 봤지만,

부모님 갈아타기를 위해 내마중을 듣고 있는 만큼 주중에 퇴근하고 한 번 부모님 집을 들르려구요:)

원천징수를 공개하실 지 모르겠으나 예산표로 다시 한 번 점검해보려고 합니다 ㅎㅎ

 

 

1단계, 종잣돈과 소득 확인하기

 

 

강의에서 말씀 주신 방법을 활용해 종잣돈과 소득을 계산했구요!

 

 

2단계, 정책대출 해당되는 지 확인하기

 

이번에 대출에 대해 자세히 배우면서

정책 대출에 대해서도 더 자세히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는데요:)

 

혼인신고를 안했을 때는, 

임신을 하고 신생아특례대출이 가능할 것 같지만 혼인신고를 하면 신생아특례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안그래도 아이가 학교를 들어가기 전까지는,

회사 복지를 포기하더라도 혼인신고를 안하는 게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요.

기회 비용을 좀 더 자세히 따져보긴 해야겠습니다만,

예산표를 통해 혼인신고를 한다면 “일반 대출”밖에 선택지가 없다는 걸 더 명확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3단계, 내 소득으로 감당 가능한 대출액 확인하기

 

지금은 둘 뿐이라 생활비가 많이 나오는 수준은 아니지만,

아이가 생기면 얼마나 늘어날 지 아직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심지어 그 때는 육아휴직으로 소득이 줄어들 테니까요ㅠ_ㅠ

 

우선은 현재 기준의 생활비와 대출금리 4.3%, 상환기간 30년으로 가정하여 계산했습니다.

 

 

 

4단계, 대출 종류별 한도 적용한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현재 계획은 생애최초는 안되기 때문에 신생아특례대출을 최우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DTI기준으로 봤을 때 5억까지 대출은 가능하나,

거주하는 집을 대환한다고 가정했을 때는 동일한 금액까지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여

그 점도 고려 중입니다.

 

아예 모두 매도하고 새로운 집에 5억을 풀로 대출을 받을 수 있을 지

그게 현재 대환보다 더 나은 계획이 될 지, 기회비용은 뭘 지를 고민해 볼 수 있었습니다.

 

 

 

5단계, 규제지역별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너무 잘 정리를 해주신 것 같아요.

규제지역에 투자든 내 집 마련이든 하고 싶지만….

비규제지역을 볼 수 밖에 없는 지금의 현실이 살짝 슬펐던 건 안비밀ㅎㅎ

 

 

 

6단계, 매매가 한도별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DSR 점검까지)

 

이번에 직접 네이버에서 검색해보며

DSR과 DTI까지 대출금액에 대한 몇 % 인지를 볼 수 있었습니다.

 

제 계획대로 원하는대로 시장이 흘러준다면,

시나리오 3번에서 서울까지도 매수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너무 설렜던 과제이기도 했는데요.

 

미래의 시장은 예측의 영역이기에

현재 제가 할 수 있는 것들을 하면서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대비해 나가야겠습니다.

그리고 더 좋은 걸 사기 위해서는 일단 종잣돈!!!! 을 더 모으기!

허리띠 더 빠짝 졸라매기~~!

 

 

최종적으로,

예산 9억과 7억 투트랙으로 보려고 합니다.

부동산 시세표도 투트랙으로 나눠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댓글


밝은글
25. 05. 13. 03:11

멋진 글 잘 읽었습니다. 채비아 조장님 ^^ 화이팅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