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성장하는 투자자 채비아입니다!
‘내 집 마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예산 정하기.
이 예산에 따라서 선택의 범위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일텐데요.
어떤 단지를 매수할 수 있느냐가 결정되기도 할 뿐더러
상승장에서의 시세차익의 정도도 달라질 것이고
하락장에서도 ‘내가 과연 내 삶을 유지하면서 버틸 수 있느냐’도 결정하기 때문에
오래 투자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가장 중요한 단계를 1주차 과제로 주신 게 아닐까 싶습니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3개의 시나리오를 써보며 현재 시점에서 내게 가장 좋은 선택지는 무엇인지를 봤던 것 같습니다.
사실은 현재 새로이 매수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긴 하지만,
이번 예산표를 통해 각각의 시나리오를 그려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저희 가정을 기준으로 계산해 봤지만,
부모님 갈아타기를 위해 내마중을 듣고 있는 만큼 주중에 퇴근하고 한 번 부모님 집을 들르려구요:)
원천징수를 공개하실 지 모르겠으나 예산표로 다시 한 번 점검해보려고 합니다 ㅎㅎ
1단계, 종잣돈과 소득 확인하기
강의에서 말씀 주신 방법을 활용해 종잣돈과 소득을 계산했구요!
2단계, 정책대출 해당되는 지 확인하기
이번에 대출에 대해 자세히 배우면서
정책 대출에 대해서도 더 자세히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는데요:)
혼인신고를 안했을 때는,
임신을 하고 신생아특례대출이 가능할 것 같지만 혼인신고를 하면 신생아특례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안그래도 아이가 학교를 들어가기 전까지는,
회사 복지를 포기하더라도 혼인신고를 안하는 게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요.
기회 비용을 좀 더 자세히 따져보긴 해야겠습니다만,
예산표를 통해 혼인신고를 한다면 “일반 대출”밖에 선택지가 없다는 걸 더 명확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3단계, 내 소득으로 감당 가능한 대출액 확인하기
지금은 둘 뿐이라 생활비가 많이 나오는 수준은 아니지만,
아이가 생기면 얼마나 늘어날 지 아직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심지어 그 때는 육아휴직으로 소득이 줄어들 테니까요ㅠ_ㅠ
우선은 현재 기준의 생활비와 대출금리 4.3%, 상환기간 30년으로 가정하여 계산했습니다.
4단계, 대출 종류별 한도 적용한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현재 계획은 생애최초는 안되기 때문에 신생아특례대출을 최우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DTI기준으로 봤을 때 5억까지 대출은 가능하나,
거주하는 집을 대환한다고 가정했을 때는 동일한 금액까지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여
그 점도 고려 중입니다.
아예 모두 매도하고 새로운 집에 5억을 풀로 대출을 받을 수 있을 지
그게 현재 대환보다 더 나은 계획이 될 지, 기회비용은 뭘 지를 고민해 볼 수 있었습니다.
5단계, 규제지역별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너무 잘 정리를 해주신 것 같아요.
규제지역에 투자든 내 집 마련이든 하고 싶지만….
비규제지역을 볼 수 밖에 없는 지금의 현실이 살짝 슬펐던 건 안비밀ㅎㅎ
6단계, 매매가 한도별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DSR 점검까지)
이번에 직접 네이버에서 검색해보며
DSR과 DTI까지 대출금액에 대한 몇 % 인지를 볼 수 있었습니다.
제 계획대로 원하는대로 시장이 흘러준다면,
시나리오 3번에서 서울까지도 매수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너무 설렜던 과제이기도 했는데요.
미래의 시장은 예측의 영역이기에
현재 제가 할 수 있는 것들을 하면서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대비해 나가야겠습니다.
그리고 더 좋은 걸 사기 위해서는 일단 종잣돈!!!! 을 더 모으기!
허리띠 더 빠짝 졸라매기~~!
최종적으로,
예산 9억과 7억 투트랙으로 보려고 합니다.
부동산 시세표도 투트랙으로 나눠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