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분석

[소금e] 나의 첫 번째 내집마련 보고서 2주차 ('돈,손,눈' PART)

  • 25.07.11

✍🏻과제 제목 양식 

 

1️⃣ 열심히 작성해본 내집마련 보고서 2주차 돈-예산 PART(PPT 양식에 맞추어) 화면 캡쳐 이미지 첨부해주세요! 

 

 

1주차 과제를 하며, 미리 예산을 점검해봤습니다. 

매월 쓰는 가계부가 있지만 소비가 많이 새는 듯 해서 올해 초부터 수입/지출을 정리하고 있었는데요. 

 

최근 6개월 간 소득 대비 저축이 월 평균 50%정도였는데, 매월 저축 금액이 들쑥날쑥했습니다. 

그래서 지난 달부터 주급으로 소비를 조정하는 중입니다.

 

코크드림님 말대로 연금,청약은 건들이지 않는 선에서 금액을 작성해봤어요!

 

 

 

 

 

 

 

2️⃣ 10개 단지의 교통, 환경, 학군 핵심 기준에 따라 가치 분석 작성 & 임장 후보 아파트 선택 후 캡쳐하여 업로드 

 

(작성 후 캡쳐하여 사진 업로드) 

 

3️⃣ 스스로 작성하면서 느낀점을 한 줄이라도 적어봅시다 :) 앞으로 어떤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을지, 어떻게 나아가면 될지 스스로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될거에요. 

 

[예산설정 관련]

2주차 강의를 통해 1주차 강의 자료였던 엑셀파일 ‘판독기’를 통해 최종 집값을 산정하는 수식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이해할 수 있었어요.

 

1주차 때까지만 해도 왜 이 정도 값의 집밖에 못 사는 거지? 하고 실망했었습니다.

종잣돈을 많이 마련하지 못한 제 탓이었어요.. 

 

6/27 규제도 있고 시장분위기가 좋지 않으니, 지금부터 매매 시점을 6개월 뒤로 설정했습니다.

저축을 더 한다고 생각하고 올해 말까지 기준으로 종잣돈을 세팅했습니다. 

저는 종잣돈 기준으로 대출감당금액이 정해졌었거든요.

 

지금 저축 수준으로 현재 가용자산에 1천만원 정도 추가를 할 수 있을 것 같아 

현재 가용자산 + 1천만원을 종잣돈으로 하여 매매 가능한 주택 비용을 정했습니다. 

 

[손품과정]

일단 잘 아는 지역과 지역별시세표를 통해 매매할 수 있는 아파트를 골라봤어요.

근데 생각보다 너무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저와 종잣돈이 비슷한 수강생들의 수강후기를 찾아보고.. 

그들이 고른 아파트를 참고해서 10개 단지를 설정했어요. 

 

월부 커뮤니티를 이용하라는 강사님들의 말씀에 완전 공감합니다.

아마 여기 수강생분들 중에 모르는 사람이 팔로우해서 놀라셨을 수도 있는데, 

비슷한 처지의 수강생이라 생각해주셨음 해요!! 

 

열심히 골라보니 앞마당 윤곽이 조금 드러났어요. 

 

[결과] 

강남까지의 물리적거리와 소요시간을 1순위로 해야한다 배웠습니다.

그래서 서울로 출퇴근할 때 경기도 사람들은 보통 오전 7시~7시반정도로 출근한다 가정하고, 

네이버지도를 통해 이동 방법, 시간을 정리했어요.

 

그리고 60분 이내인 것, 예산으로 가능한 아파트를 골랐습니다.

선호환경과 학군은 제가 고른 아파트들은 크게 유의미하진 않았던 것 같아요. 아닌가요? ㅎㅎ

 

3개 정도를 골랐는데 경기도와 서울 하급지를 비교하는 것이 제일 어려웠습니다. 

10평대와 20평대 차이도 있었고요.

 

게다가 처음 제일 좋은 아파트라고 생각했던 곳이 추산수익이 많이 나오지 않는 것을 보고 

좀 더 공부할 필요가 있다 느꼈어요.

 

가치를 비교할 줄 아는 눈을 길러봐야겠습니다.

 

[좀 더 공부하기]

 

아실을 통해 아파트 가격 추세를 비교해보니, 수원 영통과 하남이 우세해 보였어요.

처음 부동산 공부를 시작했을 때 막연히 하남에서 살고 싶다 생각했었는데,

막상 공부해보니 가고 싶은 아파트와 살 수 있는 아파트가 달라 조금 우울합니다.

 

하지만 공부를 하며 비슷한 조건에 다른 아파트들을 알아보니 좋은 아파트들도 많았어요.

다만 직장과의 거리가 조금 걱정이에요.

거주와 투자를 분리하는 방법도 고민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댓글


소금e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