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분석

[우양호양] 나의 첫 번째 내집마련 보고서 2주차 ('돈,손,눈' PART)

  • 25.07.11

1️⃣ 열심히 작성해본 내집마련 보고서 2주차 돈-예산 PART(PPT 양식에 맞추어) 화면 캡쳐 이미지 첨부해주세요! 

 

2️⃣ 10개 단지의 교통, 환경, 학군 핵심 기준에 따라 가치 분석 작성 & 임장 후보 아파트 선택 후 캡쳐하여 업로드 

 

 

 

 

 

3️⃣ 스스로 작성하면서 느낀점을 한 줄이라도 적어봅시다 :) 앞으로 어떤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을지, 어떻게 나아가면 될지 스스로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될거에요. 

 

  1. 예산 - 통장과 전세금, 그리고 주식 등에 흩어져있는 현금들을 대략적으로 생각해서 어느정도 대출 받으면 되겠구나, 하고 집을 알아보던 차에 2주차 강의를 듣고 통장정리, 주식 계좌를 빠짐없이 확인해보았다. 그래서 종잣돈이 얼마인지와 내가 최대 대출할 수 있는 금액이 얼마인지 확인해보니 어느 정도 예산이 잡히는 게 한 발짝 나가는 느낌이 들어서 더 열심히 하게 되는 원동력이 되는 듯 하다:) DTI, DSR 구분을 확실히 하고 신생아 대출을 하려면 어떤 부분을 확인해야 하는지까지 알아보니 내집마련의 꿈이 가시화 되는 느낌이 든다! (은행에 가서 대출까지 물어보고 오니, 나 정말 어른이 되었구나!싶다ㅎㅎㅎ)
  2. 내집마련을 위한 기준 세우기 - 막연하게 보던 주위 아파트 단지들을 세세한 항목들로 쪼개어 보니, 각 단지들의 장/단점이 툭툭 튀어나는게 신기하다. 아직까지는 이 표를 보고서 이 아파트가 좋겠구나! 그래서 이게 대장이구나!하고 보는 눈은 당연히 없지만, 이런 것들을 비교해야 한다는 것을 배운 게 큰 것 같다. 예전 같았으면 여기 깨끗하고 신축이야! 출퇴근 가깝고 좋네!하고 딱 마음에 정했을 아파트를 일단은 보류하고 객관적으로 보게 되었다. (이것만으로도 절반의 성공 아닌가!) 그치만 너나위님께서 아파트>주상복합으로 선호도를 말씀하셨는데, 이게 지방에는 해당되지 않는 건지가 의문이다. 분명 사람들이 도원동 대장은 힐스테이트도원센트럴이라 하는데 이건 주상복합… 그 옆에 아파트 대단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주상복합인 힐스테이트가 대장으로 찍히는 걸까? 아마 일반적인 사례가 아닌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경험적으로 알아야 하는 뭔가가 있는 것 같다. 오히려 이게 더 공부하게 해주지 않을까 싶다. 앞으로의 강의도 지금처럼 복습까지 하면서 열심히 하고 중급반까지 쉬지 않고 달리는게 내 목표가 되었다! 아자!

댓글


우양호양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