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먼저 3개월 내 내집마련 세부 계획과 나의 다짐을 적어보세요
- 8월
- 9월
- 10월
- 나의 다짐
- 계획상으로 10월이겠으나, 늦더라도 올해 안에는 입주하고 싶네요.
2. 내집마련 예산계산기 자료를 작성한 최종 화면 이미지 첨부해보세요.
- 매입 대상 개요
- 지역: 서울시 강서구
- 매물: 전용 59㎡(약 25평) 구축 아파트
- 매매가: 6억 8,000만 원 (KB시세 기준)
- 종잣돈: 3억 원
- 부대비용 추정
항목 | 금액(원) | 비고 |
---|
취득세 | 약 7,480,000 | 6억 초과~9억 이하 1.1% |
중개수수료 | 약 3,400,000 | 법정 상한 0.5% |
등기비용 | 약 1,200,000 | 인지세·채권매입·법무사 |
인테리어 | 약 30,000,000 | 평당 120만 원 기준 |
이사 비용 | 약 2,500,000 | 수도권 포장이사 |
예비비 | 약 2,000,000 | 가전·잡비 |
합계: 약 46,580,000원 (매매가 대비 약 6.85%) | | |
- 대출 필요액 산출
- 매매가: 6억 8,000만 원
- 부대비용 합계: 4,658만 원
- 최종 예산 : 7억 2,658만 원
- 최종 대출 가능 금액: 약 4억 2,700만 원
- 대출 가능액 분석
- 규제 조건
- LTV(나머지 전 지역): 70% → 4억 7,600만 원 대출 가능
- DSR(스트레스 금리 6.5%, 30년): 약 5억 2,091만 원 대출 가능
- 최종 대출 가능액: 4억 7,600만 원 (LTV 기준)
- 필요대출 4억 2,700만 원은 규제 한도 내에서 충분히 가능하며, 약 5천만 원의 대출 여유가 있음.
- 월 상환 부담 비교
구분 | 금리 가정 | 대출금액 | 월 상환액 | 비고 |
---|
심사 한도(스트레스 DSR) | 6.5% | 4.76억 | 약 301만 원 | 심사 목적 금리, 보수적 산정 |
실제 상환 예상(현재 시중금리) | 4.0% | 4.76억 | 약 226만 원 | 30년 원리금균등 상환 기준 |
- 종합 의견
- 현 조건에서는 4억 초반대 대출로 충분히 매입 가능
- 실제 상환 부담은 월 220만 원대 수준으로 관리 가능
- 생활비를 300~400만 원으로 잡아도 LTV가 한도이므로 대출 가능액 변화는 없음
- 금리 변동 리스크를 대비해 금리 1%p 인상 시 시뮬레이션을 병행하는 것이 안전
- 인테리어·이사비 포함 부대비용은 최소 4,600만 원 확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