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제목: 현재 나의 내집마련 가능 예산을 스스로 계산해보기
1. 먼저 3개월 내 내집마련 세부 계획과 나의 다짐을 적어보세요
(꿈의 실행은 마음먹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3개월 : 단지 최종 결정 및 매물 알림 등록 / 매수 적정 가격 결정
매주 매임 및 좋은 물건을 비싸지 않은 가격에 매수하기
2. 내집마련 예산계산기 자료를 작성한 최종 화면 이미지 첨부해보세요.
실거주
-. 1단계 종잣돈 및 소득 확인 : (확인 완료)
-. 2단계 정책 대출 확인 : 세전 소득 확인 → 시중 은행 대출 가능
-. 3단계 내 소득으로 감당 가능 주담대 : (확인 완료)
-. 4단계 대출 종류별 한도 확인 : 시중 은행 6억원
-. 5단계 규제지역별 대출 가능액 확인 : (확인 완료)
-. 6단계 매매가 한도별 대출 가능액 확인 : 일반 대출 한도 없음
-. 7단계 신용대출 한도 확인 : (세후 월 소득 - 생활비 - 주담대 월 원리금 상환액 ) * 27 = (확인 완료)
-. 8단계 최종 예산 : 종잣돈 + 주담대 + 신용대출 = 14억 대 (규제/비규제 동일)
거주-보유 분리
-. 예산 : 종잣돈 - 월세임대 보증금 + 매수 집 전세 보증금 (확인완료)
-. 매수 집 전세 보증금 (지역구별 평균, 교재 참조)
(21평) : (광진구) 5억5천 / (성동구) 6억8천 / ( 강동구) 6억1천
(24평) : (광진구) 6억4천 / (성동구) 7억7천 / ( 강동구) 6억
실거주 vs 거주-보유 분리 비교
-. 거주-보유 분리 시, 실거주보다 5천만원 정도 예산이 많음.
-. 실거주 인테리어 비용 고려 시, 거주-보유 분리가 부대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음 (최종 약 8천만원 정도)
→ 실제 단지 list 확인 후 최종 결정 예정
댓글
무지방우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