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분석

[내마중 19기 18조 무지방우유] 내집마련 1단계 시세표 작성!

25.08.13
  1. 예산에 맞는 지역 설정 

     

    이번에 관심 지역은 광진/성동구였으나 일단 교안에 따라서 예산에 맞는 지역구를 list up 해보았습니다.

     

    1) 실거주

     -. 서울 : 강남,서초 18평 / 용산 21평 / 송파,성동,양천,광진,마포 24평 / 강동 33평

     -. 경기 : 분당 24평

      → 직장이 경기 남부로 출퇴근이 힘든 지역 제외 후 나머지 7지역(강남,서초,송파,성동,광진,분당,강동) 검색

     

    2) 거주-보유 분리 

    -. 토허제 지역 제외 후 지역구별 평균 매-전차 확인

     → 성동,광진,강동 24평 / 분당 33평 가능 (범위 확대 가능하지만 4군데 우선 확인)

     

  2. 시세표 만들기

     

    -. 연식, 세대수 비율, 매-전차 항목 추가

    -. 30년 이상인 단지들이 많아서 용적률/건폐율/주차대수 추가 (재건축,리모델링 대비)

    -. 회사 출퇴근은 셔틀을 이용 중이라 셔세권인지 확인 후 셔틀 정류장까지 이동 수단 및 시간을 기입

    -. 실거주와 거주-보유 분리 지역이 비슷하여 단지 조사 후 맨 앞 컬럼에 실거래/거주-보유분리 가능 여부 표기

    → 실거주 항목은 회사 셔틀 정류장까지의 거리가 도보 15분이면 O / 15분이상 △ / 대중교통 이용 X

    → 거주-보유 분리 항목은 매-전차 에서 예산 범위 내에 들어오면 O / 예산 + 5000만원  △ / 예산보다 5000만원 이상이면 X (토허제 지역인 강남3구는 X)

     

     

    이번 과제를 하면서 느낀점은 거주-보유 분리로 지역을 확대해서 볼 수 있어서 더 가치가 있는 아파트를 살 수 있다는 생각에 행복했습니다 ㅎㅎ 특히, 성동구는 선호지역이었는데 출퇴근이 힘들어서 고려해볼 수 없었던 지역인데, 분리를 고려하며 관심 지역을 볼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그리고  조사하다 보니 동일 59타입인데도 방3/화1 또는 방2/화1 로 분리되는 단지가 있었고, 이 차이가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궁금했습니다. 2주차에 입지랑 단지 비교하여 이 List중에서 꼭 제일 좋은 집을 살 생각을 하니 매우 설렙니다! 

     


댓글


무지방우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