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열심히 작성해본 아파트 세 개의 비교평가 내용을 상/중/하까지 결론 내본 부분까지 모두 캡쳐하여 이미지를 첨부해주세요!
2️⃣ 위 비교평가 과정을 거쳐본 후, 세 단지를 자신있게 상/중/하로 구분할 수 있었는지 스스로 생각해보고 적어봅니다.
부동산 입지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통이다. 강남 접근성만 봤을때 압도적으로 금호동이 좋다.
일산은 당연히 꼴찌니 제쳐두고, 대흥태영의 경우 강남 접근성이 엄청 좋지는 않지만 가격이 오히려 더 비싸기 때문에 교통이 멀어도 사람들이 선호하는 요소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아무래도 금호두산의 경우 단지내 가치가 대흥태영 대비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언덕, 주차 문제가 대흥태영 대비해서도 심할 것이고, 구 내에서도 마포구가 아무래도 더 선호되는 생활권 순위를 보이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대흥태영 인근 공덕 생활권이 평소에 많이 가봤기에 얼마나 쾌적하고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지 알고 있다. 이런 점이 두산이 속한 생활권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내가 알기로 마포구는 강남 접근성이 가격에 가장 많이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공덕 자체에도 수준이 높은 직장이 있고 그보다는 5호선을 통해 종로로 접근하고자 하는 직장인들이 꽤 많다. 종로 직장인이라는 가정 하에 우선순위는 언덕이 심한 성동구 보다는 보다 쾌적한 마포구가 오히려 우선순위가 높을 가능성이 있다.
3️⃣ 상/중/하(비교평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나는 어떤 점을 보완해야할지 스스로 생각하고 적어봅니다.
성동구/마포구가 앞마당은 아니기 때문에 단지별 선호도까지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지는 않아서 아쉬운 점이 아직 있다. 따라서 성동구 내에, 마포구 내에서 단지 우선순위를 파악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 동네가 20평대 수요가 많은지, 30평대 수요가 많은지, 구축 중에서도 선호도 높은 단지가 있는지, 상승장이 오면 먼저 오를 단지는 무엇인지 등등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공부할 것들이 많다.
앞마당을 충실히 만들면 다른 구와도 비교적 쉽게 비교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4️⃣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목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다음달 목표 & 확언을 작성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