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열심히 작성해본 아파트 세 개의 비교평가 내용을 상/중/하까지 결론 내본 부분까지 모두 캡쳐하여 이미지를 첨부해주세요!
2️⃣ 위 비교평가 과정을 거쳐본 후, 세 단지를 자신있게 상/중/하로 구분할 수 있었는지 스스로 생각해보고 적어봅니다.
강남에서 너무나도 먼 고양시 단지가 비교평가 ‘하’임을 알아채는 건 어렵지 않았지만,
교통 기준으로 마포구 단지가 성동구 단지보다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을 받아들이기가 어려웠다.
성동구 단지가 마포구 단지에 비해 강남까지의 교통이 압도적으로 좋다는 건 알겠지만
매매가나 전세가 차이가 너무 나서 ‘혹시 마포구에 내가 모르는 장점이 있는걸까?’하고
가격을 기준으로 가치를 거꾸로 판단하게 되었다.
3️⃣ 상/중/하(비교평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나는 어떤 점을 보완해야할지 스스로 생각하고 적어봅니다.
마포구와 성동구에 대한 지역 이해도가 떨어지기 때문인 것 같다.
나아가, 해당 단지들의 입지 가치와 선호도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져서 조사한 내용이 이해가 잘 되지 않는다.
강의에서 서울 지역에 대해 설명해주셨다고 해도 실제 발로 밟고 스스로 조사하지 않았다면 기억에 남지 않는다.
특히 단지 가치는 직접 정리하지 않으면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서울이야말로 다양한 입지가치를 가진 지역 및 단지들을 비교함으로써 비교평가 실력을 기를 수 있는 곳이고
꾸준히 투자 실력을 늘려서 ‘나무’의 단계에 도달하게 된다면 투자 단지들 갈아타기의 최종 목적지이기 때문에
비록 7~8억대의 투자금이 낯설다 하더라도 아직 젊고 힘이 있을 때 적극적으로 앞마당으로 만들어놔야겠다.
4️⃣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목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다음달 목표 & 확언을 작성해봅시다.
8월 - 7월 실준 임보 보완(결론), 앞마당 시세 전수조사, 저평가 단지 추리기
9월 - 주에 최소 10개씩 저평가 단지 매임 다니기
10월 - 1호기 투자
15년 뒤 30억 달성이라는 장기 목표 달성을 위해
알파투자(시세차익형 아파트 투자)와 베타 투자(S&P500 ETF)를 꾸준히 병행할 것이다.
실력을 기르면 돈이 따라온다는 선배님들의 가르침을 믿고 과정에 충실하며 실력을 기를 것이다.
이를 위해, 매일 목실감을 쓰며 하루에 해야 할 일들을 정리하고 하나라도 실행해 나갈 것이다.
독 - 매월 3~4권 독서 및 독서후기 작성
강 - 매월 강의 1개씩 수강
임 - 1호기 하기 직전에는 여기에 몰입(전임, 매임) / 그 이후에 앞마당 만들기
투 - 2025년 10월까지 1호기 계약하기
댓글
라면대마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