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파트 비교 평가
2️⃣ 위 비교평가 과정을 거쳐본 후, 세 단지를 자신있게 상/중/하로 구분할 수 있었는지 스스로 생각해보고 적어봅니다.
- 상중하로 나누는 것은 기준대로 했을 때 어렵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매매가가 당연히 성동구 쪽이 조금 더 높을 거라 생각했는데 비슷하긴 하지만 마포 대흥태영이 1억 정도 더 비싸서 이 부분이 조금 궁금했습니다. 물론 큰 차이는 아니어서 비슷하다고 할수도 있겠지만!
대흥 태영이 조금 더 수요가 있는 것인지 궁금해졌습니다.
- 실질적인 로케이션 기준 “강남 접근성” 고려했을 때 당연히 성동구가 가장 가깝기 때문에, 또 지하철로도 30분 내 도착 가능한 거리이기 때문에 1순위 상으로 생각했습니다.
- 성동구와 같이 2급지이긴 하지만 조금 거리가 있는 마포구 대흥 태영은 2순위 중으로 생각했습니다. 지하철로도 환승이 필요하고 50여분 거리지만 실제로 움직이려면 1시간 정도는 잡아야 할 것 같습니다.
또 강남보다는 여의도, 광화문 같은 다른 도심이 더 가깝습니다.
- 3순위 호수5단지청구는 일단 서울이 아니기도 하고, 버스로는 조금 덜 걸리지만 정시성이 확보되는 지하철 기준으로 했을 때 1시간이 훌쩍 넘게 걸리는 거리여서 하로 평가
3️⃣ 상/중/하(비교평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나는 어떤 점을 보완해야할지 스스로 생각하고 적어봅니다.
강의에서 늘 비교평가를 배우기 때문에 기준을 잡고 비교를 하고 순위를 매기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지금 이 금액이 적정한 가격인가에 대해서는 조금 더 공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적었듯 성동구와 마포구를 비교했을 때 성동구가 당연히 더 높은 가격일 것이라 생각했는데 조금 차이가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해 궁금했고 대흥 태영이 적정가이고 금호 두산이 싼 것인지, 금호 두산이 적정가이고 마포 대흥 태영이 비싼 것인지(결론적으로는 상대평가를 하면 둘 다 맞는 말이겠지만 어떤게 더 적정가인지 판단이 잘 안되는 것 같은 느낌)
조금 더 그룹핑 할 수 있게 아는 단지가 더 많으면 어느쪽이 더 적정 가격인지 알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산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지금 이 매매가가 적당한 가격인지 궁금해졌습니다.
다른 신도시와의 비교도 필요할 것 같고 단순히 교통 이외에 서울권 단지와 가격차가 큰 이유를 알고 싶어졌습니다.
결론은 임장을 해야 한다!
4️⃣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목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다음달 목표 & 확언을 작성해봅시다.
- 다음달은 열기 강의를 들으며 조금 더 현실성 있는 비전보드를 작성할 것입니다.
- 올해 안에 해내기로 한 1호기 투자를 위해, 6월 대선 이후로 잠시 미뤄두었던 투자 실행을 위해 비교평가 할 수 있는 앞마당 3곳 시세트래킹과 매임을 진행할 것입니다.(9월, 10월)
- 나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이 환경을 벗어나지 않겠습니다!
댓글
월도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