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열심히 작성해본 아파트 세 개의 비교평가 내용을 상/중/하까지 결론 내본 부분까지 모두 캡쳐하여 이미지를 첨부해주세요!
구분 | 시 | 구 | 동 | 단지 | 매매가 | 전세가 | 투자금(매매가 - 전세가) | 강남역까지의 거리 (교통 가치) | 비교평가 결론 (상/중/하) |
1 | 서울 | 성동구 | 금호동 | 금호두산 24평 94' 복도시 방2/화1 | 125000 | 50000 | 75000 | 26분 (3호선 -> 2호선, 환승 1회) | 상 |
2 | 서울 | 마포구 | 대흥동 | 대흥태영 25평 99' 복도식 방3/호1 | 154000 | 64000 | 90000 | 57분 (버스, 환승 X) 43분 (6호선 -> 4호선 -> 2호선, 환승2회) | 중 |
3 | 경기도 고양시 | 일산동구 | 장항동 | 호수5단지청구 26평 94' 계단식 방3/화1 | 55000 | 38000 | 17000 | 55분 (버스, 환승 X) 1시간 18분 (3호선 -> 2호선, 환승 1회) | 하 |
2️⃣ 위 비교평가 과정을 거쳐본 후, 세 단지를 자신있게 상/중/하로 구분할 수 있었는지 스스로 생각해보고 적어봅니다.
3️⃣ 상/중/하(비교평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나는 어떤 점을 보완해야할지 스스로 생각하고 적어봅니다.
마포구, 성동구, 일산동구 아직 임장을 가보지 못해 지역내 선호가치를 파악하지 못했고 단순한 교통가치만 보고 상/중/하를 정하다 보니 제대로 비교평가가 안된거 같다. 무엇보다도 앞마당 늘리는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4️⃣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목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다음달 목표 & 확언을 작성해봅시다.
첫 주차에는 2개월 계획표에 따른 8월의 목표를 적어보고 다짐해보았죠!
이제 마지막 주차인 3주차엔 나의 앞으로의 자산 목표 실현을 위해 구체적인 다음달 목표를 ‘확언’형태로 적어보는겁니다 :)
‘생각’만 하는 것이 아닌, 나 스스로 직접 적어보고 입 밖으로 꺼내보는 것 자체가 우리 스스로를 한 걸음 더 움직이게 할 것 이고, 그것이 나의 앞으로의 재테크 공부를 하고, 자산을 쌓는 동안 큰 동기부여가 될 것이에요.
월부 추천도서 매달 적어도 1권씩 읽고, 읽었던 책들 중 부동산 투자 공부에 도움이 되는 도서는 여러번 재독을 해보자.
댓글
러브송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