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열심히 작성해본 아파트 세 개의 비교평가 내용을 상/중/하까지 결론 내본 부분까지 모두 캡쳐하여 이미지를 첨부해주세요!
2️⃣ 위 비교평가 과정을 거쳐본 후, 세 단지를 자신 있게 상/중/하로 구분할 수 있었는지 스스로 생각해보고 적어봅니다.
아실 실거래가 확인 결과, 금호두산이 대흥태영에 비해 저평가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정도로 장기간에 걸쳐 가격차이가 벌어진 것으로 확인 됨. → 가격 차이를 발생 시킨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호수5단지는 이미 ‘하’ 확정)
지도를 통한 입지 비교
로드뷰를 통한 단지 이미지 비교
단순 손품을 통한 비교
→ 세대당 주차대수 마포구 대흥태영이 월등. 어느 정도의 경사는 있으나 단지 내 평화 작업이 잘되어 있음. 세대 구조(방3, 화1), 다른 주요 업무 지구 접근성 또한 마포구 대흥 태영이 월등. 강남역과의 거리는 금호두산이 월등했으나, 실거주 만족도는 마포구 대흥 태영이 단순 비교 상, 더 좋을 것으로 여겨짐.
하지만 그 차이가 이 정도의 가격 차이를 발생시킬 정도인가?? 🫢
호갱노노 등을 통한 손품 정보 비교
1) 금호두산(성동구 금호동)
2) 대흥태영(마포구 대흥동)
강남역과의 거리만을 기준으로 비교평가를 했을 때와는 달리 순위가 변동 됨.
상: 마포 대흥태영
중: 성동 금호두산
하: 일산 둥구 호수5단지
결국 아파트 선호도는 특정한 몇 가지 요소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대 단지로 종합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전혀 가보지도 않았고, 존재조차 몰랐던 단지들이라 손품으로 이정도 비교를 한 것만 해도 세상 참 좋아졌다 라는 생각도 들지만, 여전히 각 지역의 특징을 잘 알지 못 하다보니 선호도의 차이가 있고, 강남역 접근성이 전부가 아님은 알았지만 얼마 만큼의 차이가 적정한 것 인지에 대한 감은 전혀 생기지가 않는다. 제대로 된 가치를 알지 못하면, 지켜낼 수 있는 힘도 약해진다고 배워왔기에 영 찜찜함이 남는 비교평가 였다.
그리고 한 가지 스스로 우려되는 점이 있다…만약 마포구 대흥태영이 저평가 상태라, 성동구 금호두산과 비슷하거나 되려 낮은 거래가에 머물러 있었다면, 나는 이 과제를 하며 조금의 의심도 없이 처음 단계에서, 기초 강의이니 과제도 쉽구나라는 생각만 하면서 섣부른 결론을 내렸을지도 모르겠다는 점이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속상하다. 인구,직장,교통,환경,학군,공급 등 여러 비교 평가 기준을 배우고서도 단순히 기초강의 과제라는 안일한 생각에 싹 다 무시할 뻔 했다는 것이 스스로 못내 실망스럽고, 그 좋은 기회를 단지 강남역 접근성 하나만 비교해보고서 흘려보냈을 거라 생각하니 한숨이 나온다. 스스로 실력을 좀 더 쌓아야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ㅠ
3️⃣ 상/중/하(비교평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나는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할 지 스스로 생각하고 적어봅니다.
결국 개별 선호도를 알기 위해서는 지역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현장 방문을 통해 직접 느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몰랐던 단지라서, 이 세 단지에 대해 이런 저런 정보를 찾아보는 과정 자체는 좋았지만 이해관계가 있는 다른 사람의 사견에 불과한 정보들만 보고서 왜곡된 시선을 내가 가지게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도 되어 정확한 비교평가를 위해 현장 임장과 그저 동네 구경으로 끝나지 않기 위한 임장 보고서 작성의 필요성을 느꼈다.
마포구와 성동구를 이미 앞마당으로 만드신 분들은 이전에 써두셨던 임장 보고서에서 해당 단지들에 대한 정보를 가져오시는 걸 보고 왠지 부러웠고, 서울 수도권 임장에 대한 부담감과 임장보고서에 대한 두려움을 꼭 뛰어넘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4️⃣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목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다음달 목표 & 확언을 작성해봅시다.
댓글
우진부행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