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열심히 작성해본 아파트 세 개의 비교평가 내용을 상/중/하까지 결론 내본 부분까지 모두 캡쳐하여 이미지를 첨부해주세요!
구분 | 시 | 구 | 동 | 단지 | 매매가 | 전세가 | 투자금(매매가 - 전세가) | 강남역까지의 거리 (교통 가치) | 비교평가 결론 (상/중/하) |
1 | 서울 | 성동구 | 금호동 | 금호두산 24평 | 124,400 | 50,000 | 74,400 | 28분(1번 환승) | 상 |
2 | 서울 | 마포구 | 대흥동 | 대흥태영 25평 | 149,000 | 57,700 | 91,300 | 42분(2번 환승) | 중 |
3 | 경기도 고양시 | 일산동구 | 장항동 | 호수5단지청구 26평 | 55,000 | 33,600 | 21,400 | 75분(1번 환승) | 하 |
2️⃣ 위 비교평가 과정을 거쳐본 후, 세 단지를 자신있게 상/중/하로 구분할 수 있었는지 스스로 생각해보고 적어봅니다.
교통 기준으로만 평가를 해보라고 했을 때는 자신 있게 상중하를 나눌 수 있었으나 현재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그리고 과거의 전고점까지 비교했을 때
과연 교통으로만 비교평가가 가능한가? 현재 이 가격은 다른 의미를 내포하는 것 같다고 생각했다!
3️⃣ 상/중/하(비교평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나는 어떤 점을 보완해야할지 스스로 생각하고 적어봅니다.
부동산 비교평가를 위해서는 현장을 가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장에 답이 있다!
사람들의 선호요소가 무엇이고 직장과 교통을 넘어서는 다른 선호요소는 없는 것인지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겠다.
4️⃣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목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다음달 목표 & 확언을 작성해봅시다.
매달 3권 이상의 독서를 하고, 임장지를 넓혀 나가면서 임보를 꾸준히 작성하자!
댓글
리얼자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