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분석

수하의 내집마련 예산 계산 및 후보 단지 정리하기 [내집마련 기초반 42기 96조 수하]

  • 24.01.13

예산:

너나위님이 설명하시지 않은 내용이 있는데, 디딤돌대출의 경우 1인가구는 제한이 더 크다

집 25평형(전용 60제곱미터) 이하, 3억 이하의 집만 가능하며, 대출한도도 1.5억(생애최초의 경우 2억)이다.

특례보금자리는 1/29에 폐지된다고 하니 이건 차치해두고

오늘 특례보금자리론을 새로 열어준다는 기사가 얼핏 떴던데 두고볼일..

신생아 안됨..

이래저래 내 소득과 생활비를 빼보더라도 대출은 1.6억 정도가 적정하다고 한다.

지금 운용할 수 있는 돈을 합쳐도 소박하기 짝이 없다...

따라서 지금 할 수 있는 것은 값싼 실거주 집을 한채 사서 거기서 살거나

전세끼고 한채를 사고 나는 전세나 월세를 사는 것 두 가지 정도다.


후보단지 정리:

실거주용과 갭투자용으로 나누어서 구분했다

실거주용의 경우 현재 살고 있는+앞으로 최대 6-8년정도 더 다닐 직장(변동 가능)이 있는 경기도 광주에서 저렴한 단지(1인가구 디딤돌대출 가능)로 직접 임장해본 곳 중 가장 마음에 들거나 전세로 살고 있는 곳을 선정

이 단지들의 장점은 실거주이므로 내 마음이 편하다, 디딤돌대출이라는 가장 저렴한 대출을 끼고 살 수 있다, 직장의 큰 변동을 스스로 만들지 않으면 직주근접이다 등이다

단점은 집값 상승기에 크게 오르지 않았기에 지금도 크게 떨어지지 않았으며, 부동산을 통한 자산증식은 반포기해야한다(초월에 신축 아파트 단지들이 속속 들어오고 있어 이 아파트들은 지역적 한계+구축의 한계를 모두 안고 있다)


갭투자용도 자금의 한도가 크게 있는 상황에서 대장아파트, 브랜드아파트 등은 보기 힘들었고 1인가구나 신혼부부가 전세로 자취, 첫시작할만한 역세권 소형아파트정도만 찾을 수 있었다.

이런 아파트들의 경우 집값상승기에 많이 올랐다가 지금은 그래도 꽤 떨어진 상황이다

아마 갭투자로 접근하면 전세와 매매가의 차액만 보고 좀 더 비싼 가격의 아파트를 볼 수도 있겠지만 너무 무리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아직 있고, 또 나의 실거주와 삶까지 돌보아야하기 때문에..(내가 정신적으로든 육체적으로든 무리해서 쓰러지면 답이 없음)

다음주 자음과 모음님 강의를 들어보고 실제로 임장할만한 곳을 정리해서 1-2월 내에 한번 갔다와봐야 할 거 같다



댓글


수하123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