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분석

슈가비치의 내집마련 예산 계산 및 후보 단지 정리하기 [내집마련 기초반 41기 43조 슈가비치]

  • 24.01.16

[내집마련 예산 계산]

아내와 가지고 있는 종자돈을 파악해 보니 220 백만원으로 확인이 되었다.

세전 소득 82백만원, 세후 소득 69백만원으로 추산을 하고

현재 보유주택이 있고 다른 정책대출 대상에는 해당되지 않아 일반대출만을 고려하기로 하고

예산도출 엘셀표에 따라 보수적인 감당가능 대출액 388백만원이 바로 최종 대출가능액으로 파악 되었고,

그에 따라 최종 예산은 608백만원, 20% 상향 조정한 최종 예산은 750백만원 정도로 예산이 파악되었다.


[예산 범위내 지역 알아보기]

지역별 평당가격 자료와 강남 접근성, 직정 접근성 (아내: 부천, 남편:외국)을 고려하여

최종 예산 750백만원 범위내, 20평형대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내집 마련 가능지역이 파악되었다.

-> 서대문구, 동대문구, 은평구, 성북구, 관악구, 노원구, 구로구, 중랑구, 금천구, 강북구, 도봉구, 영등포구, 하 남시, 광명시, 평촌, 안양, 의왕, 부천, 김포 등

이 중 강남접근성, 직장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지역은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광명시, 부천시가 되었고, 현재 거주 지역인 김포도 대상지에 포함하기로 하였다.


[네이버 부동산에서 맞는 단지 찾기]

네이버 부동산에서 필터 기능을 설정하여 아파트+매매+6-7억+20평형+300세대 이상으로 검색하여 8개 단지를 최종 선정하고 직장 소요시간을 점검해 보니 현재 거주하고 있는 김포를 제외하고 모든 지역이 1시간 이내 통근이 가능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최종후보단지 및 느낀점]

최종 선정된 8개 단지를 매수 가능 단지 리스트 내용에 따라 자료를 입력하였고, 여러 데이터를 종합 검토하여 구로구, 광명시, 김포시 소재 3개의 단를 탑 3로 선정하였다.

작업을 진행하면서 제일 먼저 느낀 점은 네이버 부동산을 보는 방법,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익숙하게 만들어야 겠다는 점이었다. 매매가, 전세가 전고점 등 가격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데, 상한가, 하한가, 실거래가, 현재 호가 등 다양한 가격이 있어 이 중 어떤 것을 기준으로 해야할 지 아직은 기준을 잡기가 어려웠고, 어떤 경우에는 매매가 또는 전세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그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대응법이 필요할 것 같았다.

또한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할지 전혀 갈피를 잡을 수 없었으나, 자료를 막상 입력해 보고 나니 이렇게 하면 되겠구나, 내가 모르는 것은 무엇이구나 하는 판단이 섰고, 나름 재미도 있었다. 지금까지 2-3차례 부동산 거래를 했었지만 이렇게 체계적으로 접근해 보기는 처음이라 좀 나은 지역과 못 미치는 지역, 우리 가족에 맞는 지역 등이 조금씩 입체적으로 눈에 들어오는 것 같아 보람이 있었다.

아직은 기준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경험과 노하우가 부족하지만 조금씩 더 익혀서 우리 가족 예산과 상황에 맞는 최적 지역을 최종 산출하고 멀지 않은 장래에 실행까지 해 봐야겠다는 작은 다짐으로 이번 과제를 마친다.

  • 내집마련 리스트 업그레이드.xlsx

    다운로드

댓글


슈가비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