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분석

예산에 맞는 아파트 찾기 [내집마련 기초반 41기 113조 호이옿]

  • 24.01.16

저는 올 해 내집마련 시 2가지의 버전이 있을 것 같아 2가지 종류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VER.1

나 홀로 내집마련


VER.2

신혼부부 내집마련


정리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예산산출 : 대출계산시 적용(너나위님 제공)

2.예산에 맞는 평균 지역 선택 : 전국평당가(월부 제공)

3.아파트 선정 : 네이버부동산

4.리스트업 : 매수가능단지 (월부 제공)


위의 4가지 프로세스로 찾아봤습니다.


-----------------------------------------------------


VER.1

나 홀로 내집마련


1.예산산출 :

-> 직접 마주한 작고 소중한 예산.... (생각보다 소액이라 놀랬다. 어서 더 모아야지)


2.예산에 맞는 평균 지역 선택:

-> 물론 서울은 안되고, 경기권에서 직장과 멀지 않는 곳을 골랐다. (구리시는 상위선택임)


3.아파트 선정 :

-> 열심히 뒤져는 보지만 옵션들을 달고 달으니 별로 없다.


4.리스트업 :

-> 현재 신축에 커뮤니티가 잘 된 곳에 살고 있어, 너무 구축은 원치 않았다.. 그랬더니 선택지가 많지 않았다.


-----------------------------------------------------


VER.2

신혼부부 내집마련


1.예산산출 :

-> 확실히 혼자 매매하는 것보단 액수가 2배가 된다. 내가 소득이 많은 것은 아니지만,

일반대출 위주가 된다.. 대출 규제에 신혼부부 합산 소득은 더 늘어나야 한다고 본다.


2.예산에 맞는 평균 지역 선택:

-> 인서울만 보았다. 남자친구와 나는 다행히 직장이 멀지 않아서 한강기준 동북쪽 위주로 보았다.

그러나 노도강은 조심하란 말이 있다. 떨어지는 칼날은 잡지 않으리


3.아파트 선정 :

-> 역시나 열심히 뒤져는 보지만 옵션(방3, 화2)들을 달고 달으니 별로 없다.


4.리스트업 :

-> 역시나 얼마나 노화된 구축까지 수용하느냐에 따라 선택지는 늘어났다.

직접 임장을 해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겠다.



이상!


댓글


호이옿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