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보는 '순서 시스템'을 머릿속에 입력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암기 사항]
A. 아파트 기본 정보 (연,세) : 연식, 세대수
B. 매매가 호가 (네이버 부동산, 중층)
C. 전고점
D. 하락률 계산
E. 전세가 호가 (네이버 부동산, 최저가격)
F. 매전차 계산
G. 근처 대장 단지 (A-F) 반복 후 본 단지와 비교
---------------------------------------------------- (A-G까진 아파트 전체적인 체력 파악)
H. 입지 분석 or 생활권 분석 (일,교,학,환 - 암기) - 일자리, 교통, 학군, 환경
-수도권 (우선순위 : 일 > 교 > 학 >= 환)
-지방 (우선순위 : 일 > 학>=환 > 교)
(우선 순위는 그때 그때 달라질 순 있겠지만, 큰 틀은 위의 순서를 잡고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I. 주변 단지들 2~3채 정도 A-F반복(체력 파악) 후 대장 vs 본 단지 vs 주변 단지 -> 단지 vs 단지 비교 via '아실'
-이때, 추가 '호재'가 있는지 곁들이면서 비교
-----------------------------------------------------
(A-I까지 완료 했다면, 어느 정도 마음에 드는 단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나중에 I부분에서 정말 단지 vs 단지를 비교하기 어렵거나, 애매하다면 '일교학환'에서 공통 분모가 많이 겹치는 쪽 or 내집마련 이라면 내 수요가 좀 더 맞는 쪽 or 투자라면 사람들의 수요가 더 맞는 것 같은 쪽으로 생각해보면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 최후의 보루는 월부 매물코칭 or 투자코칭 받아보기)
J. (+a) 내가 알고 있는 다른 앞마당의 다른 아파트 시세 트레킹 하는 지역도 있다면, +알파로 비교해보면 될 것 같습니다.
A-J까지의 시스템을 머릿속에 암기 해 놓고, 앞으로 아파트를 볼 때마다 계속 시스템적으로 굴려보면 매물 보는 눈과 실력이 길러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
오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