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겸손한 투자자 복댕이21입니다.
1주차 강의를 듣고
과연 1주택을 가지고 있는 저는
내집마련을 할 수 있을까 생각해보며
강의에서 알려주신 내용대로
알려주신 예산 계산하는 법에서부터
예산 가능 범위에서의 후보단지까지 꼼꼼히 찾아봤습니다.
현재 0호기 전세를 주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전략의 길만 있지 않을까 생각하던 찰나
예산을 세워보고 단지를 생각해보며
생각의 범위를 넓혀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내집마련예산 구하기
1단계 종잣돈과 소득 구하기
우선 준비할 사항은
23년 원천징수영수증을 출력해서 나의 소득을 살펴보고
너나위님께서 공유해주신 대출한도계산기를 통해
나에게 맞는 예산을 찾아봅니다.
원천징수영수증에서
1)근무처별소득명세중 16번 계의 금액을 세전소득(연봉)에 입력을 하고
2)16번에서 3.세액명세부분의 75번을 뺀 금액을 세후소득(연봉)에 입력을 해줍니다.
그리고 가지고 있는 종잣돈의 금액도
함께 넣어줍니다.
저는 0호기의 kb일반시세에서 전세보증금을 뺀 차액분을
종잣돈에 포함을 시켜
매도할시 갈아탈 수 있는 종잣돈의 규모를 확인해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처음 세전소득, 세후소득이 어느정도인지를 가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연말정산 받기만 했지.. 참 .. 반성합니다.
2단계. 정책대출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기
2단계 정책대출은
신생아특레대출,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 가능여부를 먼저 살펴보는 부분인데
역시나 저는 해당이 안되네요;;
3단계. 내 소득으로 감당가능한 대출액 확인하기
4단계. 대출 종류별 한도 적용한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평소에 정산해둔 가계부를 펼쳐보고
월별 생활비를 입력한 후
저는 일반대출이 가능하니 대출금리를 5%, 상환기간 30년으로 잡아서
감당가능한 대출가능액과 한도를 알아봅니다.
그래서 일반대출의 최대 금액을 확인해봅니다.
5단계 규제지역별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저는 1주택의 비규제지역을 해당지역으로 보고 있고
LTV 상한기준 대출가능액을 일반대출로 확인해봅니다.
저는 일반대출만 가능해서
6단계,7-1단계 정책대출별 매매가 한도는 넘어가봅니다.
7-2단계 6억 초과 대출 확인하기
일반대출이고, 6억초과 주택을 매수하는 조건으로
대출가능액을 살펴봅니다.
8-1단계 최종예산확인하기
최종 예산을 구했습니다.
비규제지역에서 신용대출등을 사용하지 않고
가능한 예산 범위를 설정할 수 있었습니다.
나눔해주신
내집마련 예산 시트를 작성해보면서
제가 힘들게 들인 노동으로 번 월급을
매달 들어온다는 핑계로
제대로 알지 못함에 대해 반성을 많이 했었고,
생각보다 내집마련 예산의 금액이 큰것에 대해서도
놀라게 되었습니다.
이제 이를 토대로
저희 예산에 맞는 단지를 한번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후보단지 작성
공유해주신 평당가 자료를 통해서
지역별 평균 매매가격 선을 확인해보고
제가 가능한 최종예산금액과
최종예산금액에서 +30%가 가능한 지역도 함께 살펴봅니다.
26평기준으로 가능한 지역이 있습니다.(넘나 좋은 것!*^^*)
네이버부동산에서 맞는 단지 찾기
네이버부동산에서
내예산+30%로 단지를 고르고 지도에서 살펴보며
최종후보단지를 정리해봅니다.
이 많은 단지중에 이것밖에 없다니;;
(너무 상위입지를 봤나?;;)
비록 에산 가능한 단지안에서는
손에 꼽지만 예산 +30%의 단지내에서
찾아볼 수 있도록 노력함을 다짐하며
내집마련 후보단지 정리로 1주차 과제를 마무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