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종잣돈
예/적금, 전월세보증금, 주식, 퇴직연금 일부
약 3.6억
PART 2. 소득
세전) 약 1억2천
세후) 9천
PART 3. 대출
내집마련 디딤돌 (매매가 6억이상 집 매수원함, 소득수준 이상, 해당안됨)
신생아특례 디딤돌 (자격 X, 해당안됨) => 추후 아가생기면 갈아타기 가능
보금자리론(금리 높아서 PASS!)
일반대출 (최저 약 3.8% - 카뱅, 케이뱅크...etc)
*매월 생활비는 저축+투자액(약 280만원) 포함된 금액으로 산정함.
PART 4. 후보단지 선정하기
24년 4월 기준
보수mode 대출: 종잣돈(3.6억) + 대출액(3.4억) = 7억 (20% 상향 시, 8억4천까지)
공격mode 대출: 종잣돈(3.6억) + 대출액(7.05억) = 10억 6500
보수mode로 매수가능한 단지 리스트를 직장(강남)과 가까운 [관악구] 중심으로 우선 짜보았습니다(6.5~7.7억).
그리고 너나위님께서 알려주신대로,
고점 대비 25% 하락한 '무릎' 매수를 지향하기에 리스트에 각 매물별 고점가 및 고점대비 75%가를 기입했어요.
정리해보니, 한 눈에 단지별 가격 비교 뿐만 아니라 단지정보, 직장 출퇴근 등에서
세밀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즉, 저희가 나름 네이버지도로 매물들을 출발지로 찍고, 직장을 도착지로 찍어봤을 때
막연하게 어디가 제일 교통이 좋다, 라고 호감을 비췄던 단지보다
다른 곳이 오히려 저희에게 보다 최적인 라이프스타일을 구현해낼 수 있는 입지인 것을 알게 됐죠.
또한, 제가 조사한 매물 리스트 중에서
어떤 단지는 이미 고점대비 25% 하락한 가격도 있더라구요.
이를 파악할 수 있어 좋았고, 기준점이 생기니 보다 명료하게 매매기준을 잡아가는 느낌이 듭니다.
욕심같아서는 조금 더 역세권으로 가고 싶은데...
조금 더 공격적인 mode의 매물리스트도 추후 뽑아봐야겠습니다(훗)
이상으로 [46기 92조 금두꺼비]의 1주차 과제(2)를 마무리하겠습니다 :)
댓글
금두꺼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