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내마기 45조 73조 밧데리충전입니다.
자모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을 기준으로 몇가지 분석을 하였습니다.
1. 내 자산에 맞는 서울과 서울외각의 가능성 있는 단지 파악
1) 하남의 입지분석
하남은 크게 3구역으로 나누어 지는데, 미사강변신도시 지역과 3기 신도시인 교산지구 및 서울과 인접한 감일지구로 구분 (3기 신도시는 올 하반기에나 어느정도 윤곽이 나올것 같으며, 감일지구는
미사보다 늦은 개발로 신규 아파트가 많고 단가가 높게 책정되었으나, 교통편에서는 부족하여 일단 배제하기로 하였습니다.)
미사강변 신도시 지구는 다음과 같이 분리됩니다.
. 강변 중심 지역(더샵리버포래, 푸르지오 등)
. 주거 기준의 호수공원 좌측 (푸르지오, 더레이크)
. 유흥지구지역 (파라곤, 골든센트로 등)
이중 각 지구의 대장들은 전부 저의 예산에 맞지 않고, 그보다 조금 단위가 낮은 단지를 중심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일단, 호재는 지하철 5호선은 기완공되어 교통의 편리함이 갖추어져 있고, 새로이 뚤릴 9호선은 2030년에 예상되어 시점상 뒤로 많이 밀릴 것으로 보입니다.
학군으로 보면
위례는 빼고 미사강변중학교가 학업성취도와 특목고 진학율이 좋아 학부모의 니즈가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2) 대상 단지의 분석 (더 샾리버포레)
평균매매가는 9.6억이나, 최근 8.1에 거래가 되었으며, 이는 네고의 기준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쉬운 것은 강남으로의 접근성인데
다소 시간이 많이 걸리겠지만, 9호선이 완공되는 2030년 시점에는 30분 안에 주파도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2. 결론
저 정도의 단가를 바탕으로 서울 3급지 정도를 다시 검토를 해보는 것은 추후에 다시 해볼 예정입니다. 그러나 직주근접의 차원에서 강동 동쪽과 미사에 와이프의 직장이 있어 삶의 질을 판단했을 때는
적정 수준의 금액에 미사가 다가온다면, 이 부분이 더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외에, 구 분당 도심지역에서 신규로 개발되어 가고 있는 중앙동 지역과 위례의 센트럴 자이와 같은 대장아파트들을 중심으로 더 분석하도록 할 것이며,
서울에서는 강동의 둔촌근방의 구축 아파트도 지속 확인중입니다.
조금더 분석해서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밧데리충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