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윌리입니다.
2주차 강의는 한번 배우면
평생 써먹을 수 있는
알짜 중에 알짜 강의였는데요!
1주차에 내 예산을 계산하고
그에 맞는 후보 단지를
리스트업 해봤다면,
이번 2주차에는
후보단지의 입지 분석을 통해
실거주의 만족도를 챙기면서도,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놓치지 않는 단지를
골라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0. 내 예산과 상황에 맞는 단지 리스트업
1주차에는 내 예산에 맞는
후보 단지를 리스트업 해봤는데요!
아무래도 제가 가진 종잣돈
자체가 크지 않다 보니,
많은 단지를 리스트업 할 수 없어 아쉬웠습니다.
대신 저는 거주 분리를 고려중이라,
제가 가진 예산으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까지
추가로 리스트업 해보았습니다.
저는 현재 성동구 임장중이라,
성동구 내에 있는 단지 중에서
리스트업 했습니다.
내 집 마련이 아닌 투자로 접근하니
생각보다 꽤 많은 단지를
리스트업 해볼 수 있었습니다.
1. 교통(강남 접근성)을 기준으로 소거법 적용
가장 먼저 서울수도권에서
가장 중요한 입지 요소인
교통을 기준으로 소거법을 적용했습니다.
성동구의 위치 특성상
강남으로의 접근성은
모두 1시간 이내로 좋은 편이었는데요!
하지만 환경적인 측면(언덕)과 함께 고려해,
그 중에서도 접근이 오래 걸리는
단지들을 우선으로 소거해보았습니다.
왕십리자이/왕십리KCC스위첸의 경우
연식이 좋은 편이었지만
왕십리 생활권에서도 선호도가 떨어지는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
강남으로의 접근성이 40분 이상으로
성동구에서는 오래 걸리는 점 등을
기준으로 소거했습니다.
2. 추려진 단지의 환경, 학교 고려 - 선호도 파악
이제 단지 대 단지로
비교해 볼 차례인데요!
교통(강남 접근성) 다음으로 중요한
환경과 학교를 고려해
소거법을 적용했습니다.
이번에 탈락한 단지는
금호삼성래미안입니다.
금호동 내에서 귀한 평지 환경,
그리고 01년 식임에도 불구하고
단지 내부 관리가 잘 되어 있어서
개인적으로 맘에 들었던 단지 중 하나였는데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모두 거리가 멀다는 점이
굉장히 아쉬웠습니다.
또한 역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단지라는 점도 탈락하는 데 한 몫 했습니다.
3. 단지별 비교 - 선호도 결정
이제 지금까지 살아남은
얼마 남지 않은 단지를
비교해 볼 차례인데요.
벌써부터 절반 이상의 단지가 날라가
최종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가 없으면 어쩌지
하는 마음에 조마조마했습니다.
이번 달 성동구를 임장했던 터라,
행당/응봉은 왕십리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행당대림과 행당한진의 경우,
5호선 역세권과 함께
성동구에서 유일하게 학군과 학원가를
누릴 수 있는 곳이라 남겨두었습니다.
성동구에서는 어느 생활권이나
교통의 요소는 좋기 때문에,
왕십리에서는 연식이라는 가치를
좀 더 선호요소로 판단했습니다.
4. 가격확인 - 전고점 대비 하락률
앞서 입지 요소를 기준으로 소거하고 나니,
이제 4개 단지가 남았습니다.
지난 상승장에서의 전고점을 확인하고,
적정 가격인지 조사했습니다.
전고점을 조사해본 결과,
왕십리의 텐즈힐2/센트라스는
아직 적당한 가격이 아니었습니다.
심지어 텐즈힐2는 지난 상승장보다
2%가량 상승한 비싼 가격이었습니다.
행당동의 행당한진도
32평형의 경우 하락폭이 작아
아직은 투자하기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5. 최종 선택 및 느낀점
최종적으로는
행당동의 행당한진/행당대림
두 단지가 나왔습니다.
마지막 주차에는 부동산 예약을 통해
실제 매물을 확인하고,
협상을 통해 좀 더 좋은 가격을
만들어볼 수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댓글
오왕 하나씩 논리적으로 소거되는게 눈에 잘 들어와서 넘 재밌게 봤어요 깔끔하게 정리 짱 잘하신다아👍 저랑 금액대가 비슷한지 겹치는 단지가 많아서 더 집중했습니다 쿄쿄쿄 이제 후보 매물들 매의 눈으로 꼼꼼히 선별하러 갑시다~!! 늦은시간까지 넘넘 고생많았어용 굿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