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커뮤니티
오리지널오리지널 정규부동산 기초소액 투자내집마련지역 분석실전 임장임장 보고서
부동산부동산 입문경매/공매청약/재개발세금/대출
재테크/주식주식/코인창업/부업재테크기초자기계발
코칭투자코칭매물코칭
돈 버는 독서 모임돈 버는 독서 모임

쑤니크

레벨

5
팔로워
41
작성한 글
11
댓글
4
배지
소개작성 및 활동팔로우
작성한 글
41
댓글단 글
11
저장한 글
4
배지
4
아파트분석
쑤니크

서울시 성북구 내집마련 보고서[내집마련 중급반 19기 16조 쑤니크]

내마중을 첫 강의로 듣다보니 앞마당(?)이라고 말하기도 부끄러운 1곳….인데요:< 아직 미완성의 보고서지만 앞으로 앞마당을 더 늘려보면서 비교평가 해 나가겠습니다!

25.08.27|조회수 10
10
아파트분석
쑤니크

서울시 성북구 내집마련 보고서[내집마련 중급반 19기 16조 쑤니크]

결론) 분위기 임장과 단지 임장을 토대로 리스트에 있는 단지들 중 정말 안되겠다 싶은걸 걷어냈더니 두개 단지만 남았다…ㅎ노원구와 동대문구를 분임+단임해보고 보고서를 또 만들어봐야겠다. 처음엔 내집마련 보고서를 어떻게 만들지..이 표를 어떻게 다 채우지 싶었는데 하나 하나 만들다보니 재미가 붙었다! 현장 경험 늘리면서 보고서도 야무지게 늘려봐야겠다!!

25.08.19|조회수 34
12
수강후기
쑤니크

내집마련 중급반 3강 수강후기[자음과 모음]

“내집마련 중급반 그 대망의 마무리” "배워서 내집마련하면 실패하지 않는다. 초보가 경계 해야할 것은 몰라서 손해보는것이다" "25년 하반기에는 반드시 내집마련해놔야한다! 지금 무조건 내집마련 타이밍이다" From 자모 To 수강생: 행동하시라!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시라!!(긍정적이려면 행동을 해봐야 한다) 장장 8시간 강의에 질의응답 1시간까지.. 9시간

25.08.19|조회수 8
12
수강후기
쑤니크

내집마련 중급반 2강 수강후기[용용맘맘맘님]

#단지의 가치를 알아야 하는 이유 →"내가 사고자하는 단지의 가치를 모르면, 가격이 변동될때마다 내 기분도 그 가격에 의해 좌지우지 된다" 용맘튜터님이 해주신 이 말씀이 가장 와닿았는데요. 내가 한 선택에 감정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명철하게 분석할 줄 아는 실력을 키워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가치 평가를 하는구나 그 필요성도 다시금 느꼈구요. 누군가

25.08.15|조회수 9
12
아파트분석
쑤니크

서울시 성북구, 노원구 내집마련 보고서 [내집마련 중급반 19기 16조_쑤니크]

직장과 강남이 정반대라…거리와 시간 조사는 단임을 통해 한번더 하는걸로!! 이 시트에 지역을 더 채워가면서 예산에 맞는 아파트를 더 조사해봐야겠다!

25.08.11|조회수 32
00
아파트분석
쑤니크

[내마중 19기 16조 쑤니크] 현재 나의 내집마련 가능 예산을 스스로 계산해보기

1. 먼저 3개월 내 내집마련 세부 계획과 나의 다짐을 적어보세요 (꿈의 실행은 마음먹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계획 )성북구에서 후보지 하나 찾기 다짐 )목실감 꾸준히 하기 / 임장보고서 쓰는 연습하기 2. 내집마련 예산계산기 자료를 작성한 최종 화면 이미지 첨부해보세요. <7단계 과정 대입해보기> #1. 종잣돈과 소득수준 파악 (청약 계약금으로 들어가있

25.08.08|조회수 16
00
수강후기
쑤니크

내집마련 중급반 1강 수강후기[너나위님]

"(살면서) 제대로 들어보는 부동산 첫 강의" 10대때부터 멋진 60대 인생을 꿈꿨기에 사회 생활을 빨리 해서 돈을 많이 벌자는 욕심(?)이 있었다. 간절히 원하던 꿈이 있었고, 대학 졸업과 동시에 바로 그 꿈을 실현해 사회인이 되었지만 2년차에 현실을 마주하게 됐다. 열심히 일해도 매달 늘 정해진 수입적 한계가 있고 정년까지 일한다해도 은퇴이후 마냥 여유

25.08.08|조회수 22
00
수강후기
쑤니크

벤꾸리님 강의)나도 1억 모을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기네요!

#수입 X 저축률 = 저축액 -수입 : 이직이나 부업을 통해 월 수입 극대화하기 -저축률 : 절약을 통해 저축률을 최대한 높이기 #돈을 못 모으는 사람의 특징 ①월급의 흐름이 파악되지 않는다 : 자가진단 엑셀 참고 ②소비의 기준이 없다 : 이 지출이 꼭 필요한가? → 꼭 필요하다는 이유가 감정적인 이유인가? → 대체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을 수 없는가? →

24.01.17|조회수 62
02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