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투자기초반 21기 11조 하울] 4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기초반 마지막 4강 강의를 모두 들었습니다. 비교평가하는 법에 대해 실제 예를 들어 설명해 주신게 너무 좋았고, 이후 비교평가를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감을 잡게 해주신거 같았습니다. 특히 매물임장시 부동산에서 어떻게 대응하는지 협상을 어떻게 하는지 등등 정말 실투자시 꼭 필요하지만 경험해보지 못하면 알수 없는 귀중한 정보들을 모두 알려주신거 같습니
[서울투자기초반 21기 11조 하울] 3주차 강의 후기
양파링님의 서울투자기초반 3주차 강의 후기입니다. 비교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예제 등 정말 꼭 필요한 핵심을 잘 설명해주신 것 같습니다. 비교시 가치와 가격 리스크를 판단하는 것부터, 특히 4급지 구축과 경기도 신축 비교에 대한 내용은 저도 정말 많이 했던 고민이라 너무나 좋았습니다. 그리고, 언젠가 꼭 알아보고 싶었던 지역인 수지를 설명해
[서울투자기초반 21기 11조 하울] 2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기초반 2강 강의 후기입니다. 권유디님의 수도권 가치평가 및 투자 전략에 대해 귀한 정보를 많이 얻었습니다. 특히 현재 부동산상황과 어떻게 가치평가를 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전세가를 판단한는 방법 등이 너무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서울 좋은 단지를 적절한 가격에 사는 것이 안좋은 단지를 싸게 사는 것보다 낫다. 라는 말이 이번 강의의 핵심인 것
서울투자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입니다. 작년 가을 실전준비반을 듣고 해외여행 등으로 몇달간 월부를 떠나있었는데요. 몇달 쉬었다고, 투자의 감을 좀 잃어버린것 같은 느낌이 있는 상태여서 다시 시작하려고 하니 좀 막막하고 멍한 상태였던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다시 강의를 들으니 잊고 있었던 투자열기가 다시 살아남을 느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 자모님의 모든 걸
실전준비반 3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62기 39조 하울]
실준반 3강 코크드림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코크드림님의 실전에서 꼭 알아야 할 생생한 경험들을 모두 들을 수 있었던 알찬 강의였습니다. 임장지역 선정하는 법 부터 투자 물건 고를때 어떻게 비교평가하는지 시세 트레킹이 왜 필요하고 어떻게 하는지, 전세세팅과 인테리어까지 모두가 실전에서 꼭 알아야 할 주요한 내용들이었습니다. 이번 강의 자료는
실전준비반 2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62기 39조 하울]
실준반 2강 강의 후기입니다. 이번 2강 강의는 너무나 열정적인 자음과모음님의 임장보고서 강의였습니다. 대충 어떤 강의일지 예상은 했지만, 임장보고서의 지극히 현실적이고, 세부적인 사항 하나하나 생각해보지 못했던 내용까지 꼭 필요한 내용을 콕콕 집어주셨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을 어떻게 작성할지 한장한장 목적의식을 가지고 꼭 필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한장 한장
실전준비반 1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62기 39조 하울]
권유디님의 실전준비반 1강 강의를 들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임장보고서를 왜 써야 하는지, 어떻게 써야 하는지, 해야 할것과 하지 말아야 할것 등 그 중에서도 임장시 가보지 않으면 알수 없는것만 보기, 분임시 단임시 무엇을 봐야 하는지, 부동산에서 어떤걸 물어봐야 하는지 등등 정말 실제로 투자자로서 현실적으로 알아야 할 많은 것들을 세부적으로 명확히 알려
열반스쿨 기초반 4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80기 38조 하울]
열반스쿨 기초반 4주차 강의까지 정말 정신없이 보낸 한달이었습니다. 4주차 너바나님의 강의를 들으며 투자자로서의 알아야 될 기본적인 마인드와 실전투자시 구체적인 순서와 방법 등 정말 너무나도 귀한 시간들이었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너무나도 빨리 투자를 하고 싶은 조급한 마음이 계속 들었는데, 이런 조급함이 투자를 망치는 길이라는 것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투기
열반스쿨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80기 38조 하울]
벌써 열반스쿨 기초반 3강 강의까지 들었네요. 정신없이 3주가 흘러간 것 같습니다. 이번 3주 강의는 정말 그동안 어렴풋이 떠돌던 개념들을 양파링님과 주우이님의 열정넘친 강의로 어느정도 입지 분석을 어떻게 하는지 비교분석을 어떻게 하는지 대충 감을 잡을 수 있던 좋은 강의였습니다. 수익률 보고서를 쓰면서 어려워만 보이던 입지분석을 하는 방법을 배우고, 어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