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커뮤니티
오리지널오리지널 정규부동산 기초소액 투자내집마련지역 분석실전 임장임장 보고서
부동산부동산 입문경매/공매청약/재개발세금/대출
재테크/주식주식/코인창업/부업재테크기초자기계발
코칭투자코칭매물코칭
돈 버는 독서 모임돈 버는 독서 모임

리워두잉

레벨

4
팔로워
17
작성한 글
2
댓글
2
배지
소개작성 및 활동팔로우
작성한 글
17
댓글단 글
2
저장한 글
14
배지
2
수강후기
리워두잉

출퇴근 지하철 안이 나의 투자 공부방

온라인을 통해 폰으로 부동산 투자 지표로 활용할 수 많은 데이터를 정리해주는 서비스들이 많이 늘어난 지금, 데이터가 많아도 꿰어야 보배인데 그 앱과 서비스들을 중구난방으로 사용하고 있어 답답한 마음도 있었습니다. 휴대폰을 통해 틈틈히 확인할 수 있도록 각종 앱과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말 그대로 ‘꿀팁’을 아낌없이 전수 받는 강의 였습니다.

25.02.09|조회수 4
01
수강후기
리워두잉

[쉬운 환테크: 초보자도 절대 잃지 않는 달러, 엔화 투자법] 수강후기

각종 은행 앱을 통해 80~90% 이상의 환전 우대와 환전 수수료 무료 등의 기회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데요, 환전 하는 방법 자체는 너무도 쉬워졌지만, 수시로 바뀌는 환율을 통해 어떻게 수익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는 알기 어려웠습니다. 쉽게 환전할 수 있다는 것이지 그게 곧 돈도 쉽게 벌 수 있다는 말은 아니었습니다. 외화를 사서 장기투자를 하려고 했었

25.01.19|조회수 44
01
수강후기
리워두잉

지방투자 기초반 18기 1강 후기

[배운 점] 광역시, 중소도시에 공통 적용되는 '지방 투자의 기준' 인구수: 수요의 크기 -> 수요의 크기를 나타낸다. 앞마당으로 만들 지역의 우선 순위를 정할 때의 인구수의 범위는 이 정도까지 보는 것이 좋다. 입지 -> 이 땅의 가치를 파악해야 한다. (대체 불가능한 입지인가?) 상품성 -> 같은 값이면 더 좋은 물건을 사고 싶은 것이 보편적인 소비심리

24.02.12|조회수 17
00
추천도서후기
리워두잉

성공으로 가는 과정의 분해, 그리고 될 때 한 점, 한 점 찍어 가는 마음으로.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슈퍼노멀 / 주언규 지음 저자 및 출판사 : 웅진지식하우스 읽은 날짜 : 2023.11. 13(월)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성공프로세스의_분해 #실력의_영역과_운의_영역의_구분 #그릿_중요한건_꺾이지도_그만_두지도_않는_마음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23.11.15|조회수 29
00
수강후기
리워두잉

서울투자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5기 30조 리워두잉]

서울 내 급지별 특징 1~3급지: 강남 및 강남 인근 지역 2급지는 강남은 아니지만 지하철 기준, 강남으로 한번에 연결되는 지역 상급지라고 하더라도 고정관념 없이 투자할 것 상급지에서는 대단지가 아니더라도 시세차익 있을 수 있음 그동안 서울 뿐 아니라 전국의 개발계획에는 크게 관심이 없었는데 이번 자모님의 강의에서 서울 내 개발계획에 대해 알 수 있어서

23.09.24|조회수 28
00
수강후기
리워두잉

서울투자 기초반 2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5기 30조 리워두잉]

Point) * 서울에서의 소액투자 상급지에서는 상대적으로 투자 타이밍이 짧게 있다는 것을 기억할 것 매수 이후, 2,4,6년 후의 시나리오를 그릴 수 있어야 한다 -> 어떤 투자가 베스트이다라는 정답이 있다기 보다 내 상황에 맞는 투자가 답. * 소액 투자의 기회는? 매매가가 충분히 떨어진 곳 (전고점 대비 00% 이상 하락) 비교적 낮은 전세가 형성 전

23.09.17|조회수 19
00
수강후기
리워두잉

서울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5기 30조 리워두잉]

인상적인 점) 각 구의 원씽! 서울 25개구에서 포인트가 될 만한 입지별 특징을 정리해주셔서 각 구를 보다 더 빠르게 이해할 수 있었다. 각 지역의 가치를 파악할 때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봐야할 지 방향을 잡을 수 있을 것 같다. 예를 들어 지역의 특징이 '학군'인 곳이라면 지역 내 1등 학교와 학원가 중심의 단지를 중점적으로 보게 될 것이고, '교통'인

23.09.10|조회수 24
02
  • 1
상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