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커뮤니티
오리지널오리지널 정규부동산 기초소액 투자내집마련지역 분석실전 임장임장 보고서
부동산부동산 입문경매/공매청약/재개발세금/대출
재테크/주식주식/코인창업/부업재테크기초자기계발
코칭투자코칭매물코칭
돈 버는 독서 모임돈 버는 독서 모임

이올

레벨

12
팔로워
22
작성한 글
6
댓글
2
배지
소개작성 및 활동팔로우
작성한 글
22
댓글단 글
6
저장한 글
6
배지
2
수강후기
이올

서울투자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7기 63조 이올]

위치조차 제대로 몰랐었던 서남구들의 여러 구를 급지 별로 이해할수 있게 되었다. 2급지가 무조건 가장 좋은곳으로만 보이지만 투자자로선 4-5급지의 여러 단지도 항상 트래킹하고 있어야겠다고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24.01.04|조회수 22
00
수강후기
이올

서울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7기 63조 이올]

서울 동북권 4개의 구의 시세의 감을 잡을 수 있는 강의였다. 각 구의 특징과 현재 시세, 그리고 투자 가능 금액까지 정리가 되어 현재 나의 예산으로 가치 투자가 가능한 지역, 소액 투자가 가능한 지역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역시나 가장 중요한 것은 땅의 가치! 가치가 많이 오른 곳의 특징과 동북권의 장점을 다시 한 번 정리해봐야겠다.

23.12.25|조회수 24
00
수강후기
이올

서울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7기 63조 이올]

전반적인 밑그림을 그려주는 강의라고 하고 시작하셨지만 디테일하고 세부적인 내용들이 많았습니다. 가치투자와 소액투자의 차이점을 확실히 알게 되었고 땅의 가치!!!!!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미래가치가 있는 땅은 어디인지 지난 상승장 때 땅의 가치가 많이 올라간 곳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자세히 공부해봐야겠습니다. 자모님의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

23.12.14|조회수 33
01
아파트분석
이올

성동구 옥수동 현장 방문 과제 [내집마련 중급반 1기 82조 이올]

왕십리부터 시작해서 성동구 금호동, 옥수동 분위기 임장을 해보았다. 언덕이 많은 동네라고 듣긴 했지만 실제로 가보니 언덕의 경사나 거리가 꽤 있는 편이었고, 가까운 거리임에도 언덕의 경사에 따라서 생활권이 분리되는 느낌이 들었다. 관심 있는 단지였던 옥수삼성은 단지 안으로 들어가 보았는데, 단지 안에 초등학교가 있었고 3호선 초역세권이었으며 건너편 준신축

23.12.04|조회수 68
01
수강후기
이올

내집마련 중급반 3주차 강의 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1기 82조 이올]

3주차 강의를 들으면서야 비로소 거주 분리의 의미를 조금 이해하게 된 것 같다. -실거주 비용을 줄이면서 -투자한 곳의 전세금을 높게 받을 수 있어야 거주 분리의 의미가 있다. 현재 입학을 앞에 둔 아이들이 있기에 적절한 정도의 학군지에서 거주 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좀 더 찾아봐야겠다!!

23.12.03|조회수 12
00
수강후기
이올

내집마련 중급반 2주차 강의 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1기 82조 이올]

강의를 들을수록 실거주보다는 거주분리를 해야하는건지 더 고민이 생긴다. 실거주 주택 매수가 가장 큰 고민이었는데... 하지만 실거주를 하면서 실거주 주택에서 투자 성공까지 이룬 새벽보기 님의 사례를 보면서 나도 그렇게 할 수 있는 단지를 일단 더 열심히 찾도록 해야겠다!!

23.11.27|조회수 22
00
아파트분석
이올

후보단지 입지분석 [내집마련 중급반 1기 82조 이올]

23.11.27|조회수 62
11
아파트분석
이올

이올의 내집마련 후보 단지 정리하기 [내집마련 중급반 1기 82조 이올]

23.11.20|조회수 93
33
수강후기
이올

내집마련 중급반 1강 강의 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1기 82조 이올]

실전준비반 수강 후 쉬는 기간을 좀 가졌다. 실전준비반을 제대로 끝마치지 못한 것 같아서 어떤 강의를 들어야할까 고민하던중 마침 새로 시작된 내집마련 중급반 강의!!! 사실 투자보다 내집마련의 열망이 큰 나에게 적합한 강의라는 생각이 들어 바로 강의를 신청했다 1주차부터 너무나도 알찬 강의였다 내집마련 기초반의 모든 내용을 속성으로 정리하고, 기초반의 내용

23.11.20|조회수 23
11
  • 1
상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