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준64기 3십억 넘는 가치의 앞마당을 0원히 가져갈 나전무] 나도 잘 할 수 있다!
실준64기 나전무입니다. 월부에 처음 글을 쓴 날이 2016년 1월이었네요.. 부동산 투자자로 살아 있습니다.^^ 저역시 너바나님과 같이 오피스텔, 지산, 재개발, 고시원 등등 다양한 부동산 투자를 공부하고 투자하면서도 자신이 없었습니다. ‘ 내 자산은 왜 이렇게 늘지 않았지?’라는 질문에 답을 찾고 싶었습니다. 비교 분석을 통한 가치 판단 방법 을 알지

[실준64기 3십억 넘는 가치의 앞마당을 0원히 가져갈 나전무] 임장보고서를 통한 "자기확신"갖는 실전강의
실준64기 3십억 넘는 가치의 앞마당을 0원히 가져갈 나전무입니다. 이번 강의를 한마디로 정리하면 임장보고서 분석 기반의 자기확신 을 갖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중에 가장 중요한 건 '시세지도' 그리기 그래야 우리는 입지대비 저평가있지 비교를 통해 알 수 있고, 가격을 기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세지도. 별표 세 개 해
[실준64기 3십억 넘는 가치의 앞마당을 0원히 가져갈 나전무] 더 들을 강의가 있나?
너무 너무 재밌고, 흥미로운 2강이었습니다. 1호기 투자가 저랑 비슷한 시기에 ,같은 지역을 투자하셨던것으로 소개되고 있어서, 더욱더 저를 자극한 강의 였던것 같습니다. “나는 아직 여기 있는데, 코크드림님은 누구를 가르치는 사람이 되셨구나…”하는 생각에 마음도 상했지만, “너나위가 분당 살 때, 난 부천샀잖아.”하셔서 너무 웃겼습니다. "그래도 괜찮다.!
[실전 64기 30조 나전무] 실전 1강 후기 "내가 실전반을 수강한 이유"
열기반은 미처 완료하지 못한채 실전반을 수강한 나전무입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면서 기존에 배운것을 반복하며 깊이를 다져가는 학습법이 월부 커리큐럼 인것 같습니다. ^^;; 이번 1강을 통해서 제가 왜 이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투자 기준으로 매수는 가능하나, 가치를 알아야 매도 가능하다." 미처 깨닫지 못했는데, 제가 제대로 알고 투자
[열기 82기 5조 나전무] 가치투자 판단 능력. 눈딱감고, 월부와 함께 하려구요.
드디어, 열반스쿨 기초반 강의를 완료하고 마지막 4강의 후기를 작성중입니다. 마지막 4강의 피날레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같은 초보자들은 정말 듣고 싶은 꿀같은 내용입니다. [투자자는 매수 여부를 다음과 같은 상황에 판단한다.] 가치가 있는가? 가치가 더 좋은가? 저환수원리(저평가/환금성/수익률/원금보전/리스크대비) 당장 오를만한 것이 아니라 현재 가지
[열기82기 5조] 투자로 행복 더하기
열기 82기 5조 나전무입니다. 어제 저녁 7시 30분부터 10시 30분까지 장작 세시간 동안 열강 해 주신 주우이님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저도 그 쯤 투자시작을 시작했는데, 어제 강의 질문에 답을 다하지 못한걸 보니 공부를 더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 열기 수업은 다 들었고,마지막 과제와 제가 그 동안 했던 투자들을 복기 해 보려고 합니다

[열기 82기 5조] 복붙하기 오늘부터 1일
“반복되는 운은 실력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실력을 키워야 하며, 실력을 키우는 행동들은 모두 습관이 된다. 반복되는 운은 우리가 매일 계속해서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성장과정에서 이루어진다.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잊기전에 필사 해 봅니다. 수익률 보고서 작성할 때, 2곳씩 묶음으로 작성하기 → 비교하기 쉽다. 2. “읽지않는 투자” → “저환수원리” 2
잡아 먹을까? 말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선경아파트 ✅위치(지도) ✅입지평가 1. 직장 경기도 중원구 종사자수: 102,4809 사업체수: 25547 (B) 2. 교통 강남 54분 / 여의도 65분 / 시청 71분 3.학군 금광중: 64.5%, 대원중: 60.2%, 숭신여중: 75.2% 단지에서 가장 가까운 중원초등학교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생수 증가 4. 환경(주변

잃지 마라!
200억 부자의 투자원칙은 원금보전이라고 합니다. 내 목표에 달성하려면 잃으면 목표에서 멀어진다고… “잃지 마라!” 잃지 않기 위해서는 저평가 2. 원금보전 3.수익률 4.환금성의 교집합에 해당하는지 체크하라. 그리고.. 그것이 내 목표수익률에 적합한가? 10년에 2배 상승패턴에 적합한가? 그 가격에 다른 지역에 더 나은 물건은 없는가? 지속적으로 비교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