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커뮤니티
오리지널오리지널 정규부동산 기초소액 투자내집마련지역 분석실전 임장임장 보고서
부동산부동산 입문경매/공매청약/재개발세금/대출
재테크/주식주식/코인창업/부업재테크기초자기계발
코칭투자코칭매물코칭
돈 버는 독서 모임돈 버는 독서 모임

안소장

레벨

10
팔로워
24
작성한 글
1
댓글
2
배지
소개작성 및 활동팔로우
작성한 글
24
댓글단 글
1
저장한 글
2
배지
2
추천도서후기
안소장

돈버는 독서모임 독서후기 [세이노의 가르침] - 안소장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세이노의 가르침 / 세이노 저자 및 출판사 : 세이노 읽은 날짜 : 2025. 04. 10 독서완료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성실함 #작은것도완벽하게 #지금당장시작하라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저자는 필명 세이노로 활동하는 사업가이다. 그가 경험을

25.04.10|조회수 6
00
수강후기
안소장

[서울투자기초반 13기 129조_안소장] 3주차(자음과모음) 강의후기

1. 나는 매물코칭 당시, 서울투자조언 이후 왜 갑자기 흐름(방향)을 잃어 버린걸까. 거기에 대한 이유를 찾았다. (1) 지역만 파다보니 투자의 기초, 기본이 되는 내용들을 망각했던것 같다. 끊은없이 거시적 안목 기르기 (2) 너무 모른다. 서울/경기도 앞마당이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추후 서울/경기도 앞마당이 많아진다면 가이드라인이 매우 명확해질것 같

24.06.23|조회수 53
00
수강후기
안소장

[서울투자기초반 13기192조_안소장]2주차 강의후기

1. 최근 조금 혼란스러웠던 투자기준에 대해서, 강의를 들으면 들을 수록 명확해지는 듯 합니다. (1) 결국 10년이 흘러도, 20년이 흘러도, 심지어 내 자식에게 물려줄 수 있는 아파트에 투자하는 게 최종 목적지 (2) 지방투자는 거치게 되는 '과정' (3) 가치성장투자를 비유하자면, 설국열차에 올라타는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정말 미친듯이 빨리 달릴때는

24.06.19|조회수 67
00
수강후기
안소장

[서기13기 1등2등 거를 단지가 없는 서대문9조 버텨요] 1주차 강의후기작성 _ 안소장

1. 서울 전반에 걸친 이해도 높이기 - 이번 서울투자기초반 수강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이번 임장지인 서대문구나, 다른 타 구를 임장지로 접할때 무엇부터 해야한느지 갈피를 잡기 힘들었는데, 제주바다님의 강의를 통하여 서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2.투자방향 -강의를 듣기전, 사실은 지금도 조금은 혼란스럽습니다. 향후 방향성

24.06.13|조회수 8
10
수강후기
안소장

지방투자 기초반[12기16조] 안소장_강의후기

대*가 얼마나 싼 곳인가 이번 임장지 및 강의에 나온 지역에 대한 공부를 하고나서 대*가 얼마나 저렴한 상태인지 알았습니다. 대*에 투자물건이 있었는데 2~3년 보유해도 괜찮을것 같다는 확신을 할 수 있었습니다. 2~3년 더 보유하고 적정가격에 매도할 계획입니다. 창*과 비교하여 얼마나 싼 곳인가 창*에도 투자물건이 있었는데, 지금 가격이 적정한지, 매도시

23.08.23|조회수 10
01
수강후기
안소장

지방투자기초반 12기16조_안소장 2주차 강의후기

Point 1 기존 '낙후된 도시'라고 지역 내에서 낙인찍혔던 곳이 대규모 신규입주를 앞두고 있다면 충분히 투자를 고려 선입견이 해당지역에 대한 투자를 방해하는 요소가 된 것 같다. 선입견을 없애고 지역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본다면 투자하지 못할 곳은 없다고 느꼈다. 기존에 알전 지역을 새롭게 배울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Point 2 투자에서 가장

23.08.16|조회수 4
01
수강후기
안소장

지방투자 기초반 12기 16조 안소장_1주차 강의후기

핵심1 지방 부동산 사이클은 5년~7년 주기로 짧은 편이다. 수도권과는 달리 매매, 전세의 흐름이 동일하고 전반적인 수급에 의하여 가격이 결정되다 보니 좀 더 단순하면서 직관적이다 핵심2 매매가 상승하고 전세가 그보다 더 강한 압력으로 상승하는 '봄'시장만을 기다릴 필요는 없다. 겨울시장에서도 충분히 투자가 가능하다. 전세가는 약하지만 매매가의 절대가격이

23.08.10|조회수 6
01
  • 1
상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