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인지를 수반하는 정확한 시장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판단력
메타인지 : 나는 가치성장형 투자자를 지향한다. 가. 2030년 : 서울 1채+경기도 1채(경기도 4급지는 시장 상황에 따라 매도와 매수를 할 수 있는 물건) 나. 2040년 : 서울 2채(경기도 매도→서울 상급지) 다. 2050년 : 다주택자(서울 1채+경기도1채+광역시1채) 배운대로 행동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강의를 듣는 내내 반성하게 되었다. 초심으
투자자 상황별 투자 계획 수립하기
서울 및 경기도 지역별 입지요소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기본 자모님 강의 내용에 유디님 인사이트가 더해져서 이해하기가 수월했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투자자 상황별 투자 전략 수립하기 였습니다.
내 앞마당 분석과 양파링과이 비교
내가 투자를 왜 못하고 있을까? 메타인지 이번 서투기는 메타인지를 명확기 하기로 1주차 조모임때 선언했다. 이번 강의 시작도 나를 돌아보는 내용으로 포문을 열었다. 너 메타인지 하고 있니??라고 나에게 또 한번 자문했다. 투자 범위와 지역은 내가 가지고 있는 앞마당에서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할 것 같다. 앞마당을 더 늘리고 싶지만, 투자에 대한 동력을 잃을
서투기 21기 26조 경제적해자 2주차 강의 후기
1주차에서 가치성장투자 vs 소액투자의 특징을 배울 수 있었다. 두가지 투자 방식모두 가치있는 단지를 싸게 사는데 목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가격만 싸기만 한 물건이 아닌 가치대비 가격이 싼 물건을 찾는 노력과 방법을 배웠고, 내 것으로 만들려는 연습을 같이 한 2주차 였다. 저가치 단지를 골라내고, 저평가된 단지 중 내 투자금 범위에 들어오는 단지를
[저평가 투자의 정석]
저평가의 기준을 제시해 주셨던 강의가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내가 하고 있는 비교 평가와 비교해 볼 수 있었습니다. 금액대 별로 구분 저평가 판단 원금보존 확인 수익률 검증 비교평가 단지와 비교 소액투자란 갭만 보는 것이 아니라 투자자는 전세 레버리지를 하는 것이다. 절대가만 싼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즉 선호도가 있는 단지를 찾아 구매하는 행위라고
[투자 연습은 이렇게도 할 수 있구나?]
수도권 아파트 가치평가는 어떻게 할가요? 가. 서울과 경기도의 입지수준 비교→광명과 평촌 수준은 나. 입지의 가치는 어떻게 구성되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 → 일자리 및 학군 특징 : 시기의 변화에 따라 변화 가능성 낮음 → 교통 및 환경 특징 : 변화가능성 큼 평촌의 시장 가격의 변화→공급 정리와 전세가 상승 주시 가. 구축 : 가격 변화가 적음 나.
신투기 5기 55조 경제적해자 1주차 강의 후기
역시 기대하던 그대로다. 자모님 강의는 기대된다. 이번에는 어떤 인사이트를 보여주실지!! 신도시 중 내가 검토하고 있던 3곳을 비교평가 해주셨다. 첫번째 강의부터 가슴이 뛰었다. □ 신도시 투자대상 목록 : 광명시 / 안양(동안구) / 용인(수지구) □ 비교평가 기준 : 전고점 / 상승시점 / 수익률(전저점과 전고점 차이) → 명확해서 좋다. 가치평가 생각
서투기 4주차 수강후기[16기 88조 경제적해자]
상황에 따른 입지분석 결과 활용 → 서울&수도권 : 공급은 큰 차이 없다. 특징지역의 공급 영향이 해당 지역만 영향을 주는 건 아니다. → 대규모 입주가 있다면 정도의 차이지 다 영향을 준다.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요를 이끌 수 있는 요소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게 직장인지, 교통인지, 지역 및 상황에 따라 다르다. 모든 관점을 수요에 영향
3주차 수강후기[서투기 16기 88조 경제적해자]
서울투자 기회 : 4~5급지 투자 기회가 있다 기회가 되는 앞마당을 파악하고 먼저 공부하자. 지나간 신축, 상급지가 기회가 오기를 기다리지말고 투자가능 지역을 공부하고 투자하자. 지금은 4~5급지에 기회가 있다. 4~5급지 중 동북권에 기회가 있다. 선호도가 있고 앞으로 변화 가능성이 있는 지역이 있다. 성북구, 동대문구 가치를 분석하고 매물을 확인하고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