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240915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_79기 117조 자유

240906~240915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완독

 

우리가 사는 사회가 어떤 사회인지, 숲을 볼 수 있는 책

 

↓ 챕터별 느낀 점

 

1장 ‘빚’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 자본주의의 비밀 - 돈이 창조되는 원리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물가 상승 현상이 지극히 정상적인 운영 체계이고, 오히려 그것을 막으려 할 때 우리는 더 살기 어려워 진다는 것(의자뺏기 게임)

→ 1차적으로 돈이 너무 많이 창조되는 게 문제라고 해도, 그 돈이 우리 손에 들어오는 순간, 선택권은 나에게 있음. 그 때 그 돈을 어떻게, 제대로 쓸 것이냐(소비, 저축/주식, 펀드, 부동산 등 투자)에 따라 미래가 달라짐.

→ 기존의 자본으로 실질적으로 수익이 나는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투자를 해야한다는 게 와닿았음.

(너바나님 강의에서 언급된, 부자가 되는 4가지 루트 중 임금으로 부자가 될 정도의 근로소득이 아니라면 근로소득 외의 수입처를 찾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것 같음)

 

2장 위기의 시대에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의 비밀 - 투자를 할지 말지는 전적으로 나의 선택! 꼼꼼하게 보자

 

→은행 직원도 사실 그 상품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 놀라웠음.

→돈을 굴리는 모든 행위에 있어서 고수익에는 고위험이 따른다. 은행 상품이든,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고수익을 창출하는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은행의 말이나, 주변 사람들 말에만 너무 휘둘리지 말고 나 스스로가 그것에 대한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더 체감되는 부분이었음.(+그래서 일정하게 들어오는 근로소득이 나름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동력이 되는 듯함. 일을…당분간은 계속 하자^_ㅠ)

 

3장 나도 모르게 지갑이 털리는 소비 마케팅의 비밀 - 무의식적인 소비에서 벗어나자

-더 깊은 만족을 이루기 위해서는 쾌락을 잠시 미뤄둬야 하는데 그걸 너무 못해요(p.328) →왜 저를 때리시나요?

 

→과소비를 막기 위해서는 취약한 분야에 대해 스스로 알고, 그것을 막기 위해 소비하기 전에 항상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

→내가 취약한 분야는? 마트에서 장 볼 때, 가끔 오는 전자기기병(기기를 사거나 바꿔야만 나을 수 있음;;) →꼭 필요한 것인지 한 번 더 생각해보는 습관을 가질 것.

→소비도 계획적으로 함으로써 행복도 할부로 꾸준히 받자(?)

 

4장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할 아이디어는 있는가 - 지금의 자본주의에 오기까지, 앞으로는 어떻게?

 

→ 완전히 시장이나 정부에 맡기는 건 어려우니까, 비중의 문제 같은데, 돈에 가치를 두느냐 사람에 가치를 두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 같음. 뭘 선택하든 확실한 목적을 가지는 것과, 목적 달성까지 유의미한 노력을 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음. 사실 아직 잘 모르겠음…

→ (여담으로) 예전부터 노동자는 열심히 일해도 돈을 모으지 못했다는 게 신기했음. 자유시장경제가 시작된 지 얼마 안되기도 했고 자본가를 거스를 수 없으니, 불합리한 대가를 받고 일한 것도 있었을 듯. 반면에, 지금은 노동의 가치도 옛날과 같지 않고, 다른 길도 많으니까, 자기 가치관에 맞게 더 큰 가치를 위해 공부하고 행동하는 게 필요하다고 느낌.

 

5장 복지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 국민이 주체가 되는 자본주의

 

→복지자본주의에 대해, 막연하게 저소득층도 필수적인 생활은 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라고만 생각했는데, 분배의 불균형, 자본주의의 붕괴를 막기 위한 분배 시스템이라는 것을 알게됨.

→창의성을 단순히 교육의 문제가 아닌, 제도를 통해 보장함으로써 돈에 구애받지 않고 창의성을 펼칠 수 있게 하는 사회 = 자신이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기회를 주는 것 일맥상통하는 듯

→자본주의를 움직이는 주체가 ‘국민’이 되려면, 국민들이 자본주의에 대해 진정으로 이해하는 게 첫번째 과제가 아닐까?


댓글


도하소민user-level-chip
24. 09. 16. 07:15

오 자유님 도서 후기 잘 읽었습니다 ^^ 저는 전자기기병이 없는데.. 남편에게 주기적으로 그 병이 오더라구요 ㅎㅎ 근로소득을 모으기만 해서는 노후 대비로 제대로 안 되는 게 자본주의의 현실 같아요.. ㅠ 함께 화이팅입니다~

도커니킴user-level-chip
24. 09. 16. 22:31

자유님 "자본주의" 완독하셨군요!! 저도 이 책 읽고 자본주의를 살면서 무지했던 스스로를 돌아봤더랬죠 독서 후기 잘 읽고 갑니다. 자유로운 월급쟁이가 되는 그날까지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