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투자는 수도권 투자와 다르게 투자처를 선택 할 때 매우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배우게 되었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교통, 직장의 선호도가 매우 중요하지만 지방의 경우 학군,환경이 크게 작용한 다는 점을 강의를 들으면서 다시 한번 중요하다고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번 광주광역시 기준의 내용을 들으면서 아직 임장 해보지 않은 광주에 대해 배워갈 수 있는 시간이였습니다.
생활권으로 구분하여 투자할 가치가 있는 곳과 가치가 없는곳에 대해 말씀해주신 부분은 아직 어렵지만,
그만큼 투자할 때 잘 선택해야 한다는 중요성을 알 수 있었습니다.
지방투자시 1기 신도시 느낌이 나는 나쁘지 않은 느낌을 조심해야 한다고 거듭 말씀해주셨는데
제가 선택한 천안에서 구불당동과 쌍용동이 1기 신도시 느낌이라 다시 한번 되짚어 봐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다른 광역시들과는 다르게 가격 형성이 동서남북 마구잡이로 되어 있는 부분에서 이해를 하는게 어려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입지 좋은 신축, 입지 안좋은 신축, 소수의 입지 좋은 구축으로 투자에 대한 말씀을 해주신 부분은 아직 어려운것 같습니다.
막상 제가 투자처로 생각해서 광주를 선택한다면 투자금이 적게드는 구축을 선택하는 오류를 범하지 않을까 두렵더라구요.
다른 지방도시에서도 각 도시마다의 특징을 잘 파악하고 투자에 접근해야겠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광주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지만 행정구역, 지역별 특징 등을 배울 수 있었고
지방투자 또한 수도권 못지않은 투자의 기회가 있음을 다시 한번 배울 수 있었습니다.
열심히 가르쳐주신 권유디님 감사합니다!
댓글
추부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