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깨>
광역시는 교통보다 부자커뮤니티가 훨씬 중요
직장관련 데이터는 호갱노노에서
공급관련 데이터는 아실에..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말고 내가 진짜 해야할거를 생각하고 하는게 중요 너무 스트레스 받지말기
(교육관련 데이터는 아파트미 라는곳에)
임보 예쁘게 쓰는것보다 투자할때 보고 판단할수 있도록 하는게 중요
→ 입지요소 단순히 생각할게 아니라 지역별로 중요한 입지요소가 뭔지 입체적으로 생각하기
광역시랑 중소도시 중 뭐가 무조건 낫고 연식 무조건 좋은것에서만 해야하는게 아니라
저환수원리 판단해서 하는것..
현재 중소도시에 공급많은곳들 리스크 있으니까 광역시 보는거고..
그런 관점에서 광역시를 보는거고 가치대비 가격도 싸고 하니까..
무조건적인건 없다.
→ 수도권이 지방보다, 광역시가 중소보다 항상 나은건 아니다.
단지분석은 적게하더라도 내가 이걸 왜하는지 이해하고 분석하며 배우는게 있어야 하는게 중요
당장의 가격보다는 선호도 파악적인것들이 우선.
생각검증은, 내가 아직 각 연식 투자에 대해서 경험이 없으니까
상승장을 기준으로 그때 당시 연식이나 비슷한 입지 사례를 넣어서 비교해보라는것.
그러면 선호도를 볼 수 있다.
→단지분석을 간접투자라고 생각하고 접근하는것 좋은듯, 생각을 많이 넣자.
가격이 많이 무너져있는 지방시장은 가격만으로 선호도를 판단하면 더 좋은가치를 놓칠수있다.
따라서 어떤 아파트를 사람들이 좋아하는지 집중하느것이 먼저.
(특히 신축은 전고점을 판단할 수 없으니 선호도 파악이 더 중요)
→ 선호도 파악이 역시 중요. 신축은 전고점을 확인할수없으니 선호도 파악에 더욱 집중
지방임장은 많이 못가니까 그 지역에 대해 감이있는 상태로 가는것도 좋고
따라서 어느정도 시세 파악하고 가는것도 좋다. 단, 가치판단할때는 가격을 뗴고 판다나혈는 노력이 필요하다.
가격이 같다고 가치가 같은것은 아니기에(특히 입주장 가격이 반영되는 단지는 더더욱)
단지분석을 간접투자의 느낌으로 접근하기..
→ 단임전에 시세 파악하고 가기. 선호도 파악을 시세에 매몰되지 않기
임장할때는 중소-광역-서울 식으로 섞어서 가보기
그래야 나중에 비교평가 할때 도움이 된다.
지금 당장 투자할 수 없느 ㄴ상태, 지역이라도 저축하듯이 미리 가보는게 좋다.
그래야 투자를 할때도 좋은지역 대비 가격감이 생기니까 돈버는 투자라는 느낌이 들어서 확신이 생긴다.
당장 투자할수 있는곳만 찾아다니면 “왜 이제왔어”라는 얘기만 들을거다..
광역시는 덩어리가 크기에 공급줄면 언제 전세가가 붙을지 속도를 가늠할수없다. 생각보다 금방 찬다.
→ 미리미리 앞마당 저축해두기
앞마당관리는,
반마당이라도 그냥 지나치고 새로우 ㄴ앞마당 누적하는게 중요하다.
실력이 쌓이면 나중에 반마당 보완이 수월해진다.
욕심내지말고 역량이 늘어날때를 기다리면 자연스럽게 보인다.
저축 100만원 목표 항상 못지킨다고 저축 안할건지?
안되도 그냥 되는대로 해야 도움이 되고 불어난다.
→ 지난 반마당에 마음쓰지 말고 앞마당 늘리며 실력키워나가기
우리가 보는 투자대상들이 애마한것들인 경우가 많기에
옥석고르려고 임장다니고 하는거다.
투자는 상황되면 기회되면 하는것.
심어둬야 나중에 묘목으로라도 큰다.
저는 좋은것만 투자하지 않았다. 할 수 있는것 해야한다.
그래서 좋은것도 보고 덜 좋은것도 별로인것도 봐야한다.
→ 지금 할 수 있는 투자 해나가기
투자자의 실력은 경험에서 나온다.
나만 못하고 민폐라고 의기소침하지말고
못하니까 배우러 온거라도 새악ㄱ하기
양을 많이 한다고 해서 좋은인상주는게 아니라 힘들고 어려운 여건임에도 노력한다 에서도 좋은인상 줄수있다.
강의를 듣는순간,
이게 될까? 라는 고민을 할 필요없다. 이거는 유튜브만 보던 시기에나 하는것.
어떻게 하면 될수있을까를 고민해야한다.
가족들이랑 시간보낼때는 그것에 집중해서..
지금 가격안오를때가 힘든거지, 나중에 가격오를때는 도파민 막 뿜으면서 하게된다.
힘내야한다.
<적>
단지분석을 간접투자 라고 생각하고 생각많이 넣기, 스스로 질문하고 검증하는 연습하기
양 많이 못넣더라도 제대로 하기.
지방임장할때 단임전에 시세 보고가기
지금 할 수 있는 투자하기
못한다고 의기소침하지않기 못하니까 배우러 온것이다라고 생각 전환하기
댓글
행복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