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후기#1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제임스 클리어

저자 및 출판사 : 제임스 클리어/비즈니스북스

읽은 날짜 : 2025.04.14~2025.04.20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시간보단 빈도 #정체성 중심의 습관 #습관은 시스템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미국 최고의 자기계발 전문가. 블로그 월 방문자 수 100만 명, 구독자 수 50만 명의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파워블로거이자 <뉴욕 타임스>베스트 셀러 작가다. 전세계 사람들에게 습관 형성, 의사결정 등 지속적인 자기 관리에 대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그의 뉴스레터는 단 2년 만에 10만 구독자를 돌파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 이는 개인 뉴스레터로는 역사상 가장 빠른 성장세라고 하며, 세계 최고의 웹사이트에 수여되는 웨비상 베스트 뉴스레터 부문에서 수상을 하기도 했다. 그가 발행한 뉴스레터 중 일부는 <뉴욕 타임스>, <월스트리트 저널>, <포브스>, <타임>, <CBS This moming> 등 저명한 매체에 소개됬다.

어렸을 때 부터 타고난 재능으로 촉망받는 야구선수였던 그는 훈련 중 얼굴 뼈가 30조각이 나는 사고를 당했다. 야구에 인생을 걸었던 그에게 이 사건은 사망선고와도 같았다. 하지만 그는 좌절 대신, 매일 1퍼센트씩의 성장을 목표로 일상의 작은 성공들을 이뤄나갔다. 6년 후, 꾸준한 노력 끝에 그는 대학 최고 남자 선수로 선정되었고, ESPN전미 대학 대표 선수로도 선출되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자신을 인생의 나락에서 구해준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을 전세계에 알리는 최고의 자기계발 전무가가 되었다. 현재 그는 <포춘> 500 기업들에서 앞다투어 초빙하는 명연사이며 NFL, NBA, MLB에서 활동하는 세계적 운동선수들을 코칭해주고 있다. 또 구글, 페이스북 등 실리콘밸리의 IT기업은 물론 아이비리그 대학들까지 강연을 나가는데,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초청받아 선보인 ‘아주 작은 습관의 힘’에 관한 강연은 지금까지 온라인에서 크게 회자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온라인 학습 싸이트 “습관 아카데미”를 서립해 누구나 달라질 수 있는 기ㅗ히를 제공하였으며, 지금도 미국 전역에서부터 유럽, 아시아까지 전세계를 여행하며 좋은 습관이 주는 인생의 놀라운 변화에 대해 사람들에게 알리는 중이다. 

 

 

2. 내용 및 줄거리

Prologue - 새로운 삶의 시작

P.19 우리 모두 인생에서 불행을 겪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인생은 대개 습관으로 결정되곤 한다.

 

Part 1. 아주 작은 습관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P.34 습관은 복리로 작용한다.

P.37 지금 당장 어떤 방법이 성공적이든 성공적이지 않든 그것이 중요하진 않다. 중요한 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습관이 성공으로 가는 경로에 있느냐는 것이다. 현재 일어난 결과보다 지금 어디에 서 있느냐가 훨씬 더 중요하다.

P.40 과정 초기와 중기에는 이른바 ‘낙담의 골짜기’가 존재한다.

P.40-41 하지만 의미 있는 차이를 만들어 내고 싶다면 정체기, 그러니까 여기서 ‘잠재력 잠복기’라고 부르는 기간을 돌파할 때 까지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P.45 목표를 생각하느라 너무 많은 시간을 들이고 시스템을 고안하는 데는 시간을 투자하지 않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

P.47 목표 중심적 사고 방식은 ‘요요 현상’을 불러올 수 있다.

P.48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개선하고 발전해나가는 순환 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즉, ‘과정’에 전념하는 것이 ‘발전’을 결정한다.

P.48 목표를 높이지 마라. 시스템의 수준을 (어렵지 않게) 낮춰라. 

P.52 지속하기 위해서는 정체성 중심의 습관을 세워야 한다. 이는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집중하는 데서 시작한다.

P. 58 자신의 성향과 관계된 어떤 생각이나 행동이 심화될수록 그것을 바꾸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자신이 바라는 최고의 모습이 되려면 자신의 믿음들을 끊임없이 편집하고, 자기 정체성을 수정하고 확장해야만 한다.

P.63 변화는 다음의 간단한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1.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결정한다. 2. 작은 성공들로 스스로에게 증명한다.P

P.71 습관은 우리를 둘러싼 환경에서 되풀이되는 문제의 안정적인 해결책일 뿐이다.

P.74 먼저 ‘신호’가 있다. 신호는 뇌가 행동을 시작하게끔 자극한다.

P.74 ‘열망’은 두번째 단계로, 모든 습관 뒤에 있는 동기적 힘이다.

P.75 세번 째 단계는 ‘반응’이다. 반응은 우리가 수행한 실제 습관으로, 생각이나 행동을 형성할 수 있다.

P.76 마지막으로 반응은 ‘보상’을 가져다준다. 보상은 습관의 최종 목표다.

 

Part 2. 첫 번째 법칙. 분명해야 달라진다.

P.87 인생은 생각하는 만큼 바뀐다.

P.91 우리는 의식적으로 행동 변화 과정을 시작해야 한다. 의식하지 않으면 변할 수 없다.

새로운 습관을 효율적으로 세우기 전에 먼저 현재의 습관을 파악해야 한다.

P.96 이 행동은 내가 바라는 사람이 될 수 있게 하는가? 이 습관은 내가 원하는 정체성을 쌓아나가는 한 표가 되는가, 위배되는 한 표가 되는가?

P.97 나쁜 습관에 대해 큰 소리로 말하는 것을 직접 들으면 그것이 초래할 결과를 더욱 현실적으로 느끼게 된다.

P.101 새로운 습관을 언제 어디서 수행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 사람들은 그것을 지키는 경향이 더욱 크다.

일반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분명하지 않을 때 동기는 결여된다.

P.103 목표가 모호하면 온종일 일어나는 작은 예외들을 허용하기 쉽다.

P.105 새로운 습관을 세우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이미 매일 하고 있는 현재의 습관이 무엇인지 파악한 다음 그 위에 새로운 행동을 쌓아올리는 것이다. 이것이 ‘습관 쌓기’다.

P.121 어떤 습관을 삶의 큰 부분으로 만들고 싶다면 그와 관련된 신호를 자주 인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라.

P.122 그래서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 우리가 그것들과 맺고 있는 관계에 따라 행동한다.\

P.123 새로운 환경에서는 습관을 바꾸기가 쉽다는 것이다.

P.131 습관을 버릴 수는 있지만 잊을 수는 없다.

부정적인 환경에서 긍정적인 습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사람을 나는 본 적이 없다.

P.132 나쁜 습관을 제거하는 가장 실용적인 방법은 그것을 유발하는 신호에 노출되는 일을 줄이는 것이다.

 

Part 3. 두 번째 법칙. 매력적이어야 달라진다.

P.145 습관은 도파민이 주도하는 피드백 순환 작용이다.

도파민은 즐거운 경험을 할 때뿐만 아니라 즐거운 경험이 예상될 때도 분비된다는 점이다.

P.148 유혹 묶기 전략은 하고 싶은 행동과 해야 하는 행동 사이의 연결 고리를 만듦으로써 작동한다.

P.156 종종 우리는 생각하거나 의문을 품지 않고, 어떨 때는 기억해내지 않고도 자기 문화에 있는 습관들을 따른다.

P.158 더 나은 습관을 세우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는 자신이 원하는 행동이 일반화된 집단에 들어가는 것이다.

P.159 무리에 소속되는 것보다 더 동기를 지속시키는 것은 없다.

정체성이 공유되면 나의 개인적인 정체성도 강화된다.

P.175 어떤 습관에 관해 결함보다는 이득이 되는 쪽에 집중하는 것은 우리의 마음가짐을 다시 설정하고, 어떤 습관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드는 빠르고 손쉬운 방법이다.

 

Part 4. 세 번째 법칙. 쉬워야 달라진다.

P.187 우리가 실제로 실행하기보다는 동작 정도까지만 하는 가장 큰 이유기도 하다. 실패하고 싶지 않고, 하더라도 가능하면 나중으로 미루고 싶은 것이다. 동작은 쉽다. 아직 자신이 그 과정 중에 있다고 느끼게 해준다.

P.188 어떤 습관에 통달하려면 가장 중요한 건 ‘반복’이다.

P.191 습관은 ‘시간’이 아니라 ‘횟수’에 기반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P.197 우리는 쉬운 일을 하는 쪽으로 동기가 부여된다.

P.201 우리의 시간과 에너지를 차츰차츰 빼앗아가는 마찰 요소들을 제거하면 더 적은 노력으로 더 많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P.215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적게라도 하는 것이 낫다.

 

Part 5. 네 번째 법칙. 만족스러워야 달라진다.

P.235 우리는 경험이 만족스러울 때 그 행동을 더 반복해서 하곤 한다.

P.240 나쁜 습관은 보상이 즉시적인 반면 결과는 나중에 발생한다.

P.241 뇌가 현재를 우선순위에 두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좋은 의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P.241 ‘즉시적인 보상을 주는 것은 반복한다. 즉시적인 어려움을 주는 것은 피한다.’

P.242 가장 최선의 방법은 장기적으로 보상을 주는 습관에는 즉시적인 기쁨의 조각들을 덧붙이고, 그렇지 않는 습관에는 고통의 조각들을 덧붙이는 것이다.

P.243 습관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성공했다는 느낌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

P.245 습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일이 즐거워야 한다.

P.250 습관 추적은 우리를 정직하게 만들어준다.

P.251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신호를 볼 때 우리는 더욱더 나아가고자 하는 동기가 생긴다.

P.252 습관추적은 1.우리에게 행동을 일깨우는 시각적 신호를 만들어내고 2.자신의 발전을 눈으로 보고 이를 되돌리고 싶지 않다는 내적 동기를 일으키며 3.성공적으로 습관을 수행하고 기록하는 순간 순간 만족감을 느끼게 해준다.

P. 255 전대로 두 번은 거르지 않는다는 법칙이다.

처음의 실수가 절대 나를 망치지는 않는다. 하지만 뒤이어 또 실수할 수 있다. 한 번 거르는 것은 사고다. 두 번 거르는 것은 새로운 습관의 시작이다.

이 규칙은 습관을 잘, 또는 완벽하게 해낼 수 없을지라도 이를 유지하는 데 무척이나 중요하다.

P.263 결과가 국지적이고, 실재적이고, 견고하고, 즉각적일수록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더 많이 미친다. 반면에 결과가 광범위하고, 실재적이지 않고, 모호하고, 지연될수록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덜 미친다.

 

Part 6. 최고의 습관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P.290 동기를 유지하고 욕망을 최고로 달성하는 방법은 ‘관리 가능한 수준의 어려운' 일을 하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P.291 골디락스 법칙이란 인간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적합한 일을 할 때 동기가 극대화되는 경험을 한다는 것이다.

P.295 성공의 가장 큰 위협은 실패가 아니라 지루함이다.

P.298 전문가들은 기분이 영 아닐 때조차 행동을 취한다. 그것이 즐겁지 않더라도, 그걸 계속할 방법을 찾는다.

우리는 지루함과 사랑에 빠져야만 한다.

P.308 습관을 체득하는 것만으로는 개선이 일어나지 않는다. 계속해서 조정해나가야 한다.

P.310 주기적 숙고와 복기는 적당한 거리에서 거울 속의 자신을 보는 것과 같다. 전체 산세를 보도록 하라.

P.313 습관은 수많은 이득을 가져다주지만, 반대로 우리를 이전의 사고와 행동에 가두기도 한다.

자기 인식 결여는 독이다. 숙고와 복기는 해독제다.

P.316 습관 변화의 성배는 단 한 번의 1퍼센트 변화가 아니라 수천번의 1퍼센트 변화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나만의 미라클 모닝 루틴을 시작한 지 2주차가 되는 시점에 이 책을 읽으면서 좀 더 내가 만들고자 하는 습관을 어떤 식으로 계획을 하고 유지할 지를 알 수 있었다.

월부를 시작하면서 사소하지만 내 생황에서 많은 부분을 고쳐나가고 새로운 습관을 들이려고 하는 나에게 아주 도움이 많이 되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내가 의식하지 않고 하는 행동들이 모여 내 생활이 되고 그게 곧 내가 된다는 것을 인식해보게 되었다. 내가 무심코 하는 행동, 그렇지만 매일 반복하는 행동들에 대해서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그리고 그 행동의 결과가 어떠한 지도..

책을 읽으면서 내가 무심코 하던 행동들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았고 이것이 나에게 좋은 영향을 주는 표인지, 나쁜 영향을 주는 표인지도 나눠볼 수 있었다.

그리고 새로운 습관을 들이고자 하는 시점이어서 내가 꽤나 이 책에서 말하는 올바른 방법으로 습관을 만들고 유지하고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고 스스로 만족감도 느꼈다.

 

* 나에게 적용할 점.

  1. 내가 하고자 하는 투자공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월부라는 환경 속에 계속 머무르기
  2. 내가 이루고 싶은 목표을 중점으로 생각하기보다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먼저 생각하고 그 사람이 되기 위해 가장 먼저,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일부터 생각하고 시도해보기
  3. 100%에 집착하지 않고 시도하고 경험하고 완료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스스로에게 칭찬하고 만족하기.
  4. 내 루틴을 한 번 누락한 것은 사고로 인정하고 두 번은 누락하지 않도록 하기.

 

5. 연관 지어 읽어 볼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미라클 모닝. (이 책을 먼저 읽고서 나만의 미라클 모닝 루틴을 시작했고 본 후기의 책을 읽음으로써 어떻게 유지할 수 있을지, 또 더 좋은 습관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동기가 생기게 되었다.)

 


댓글


카쵸에페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