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투기 25기 부천시 앞마당 어서 5시고0 마머미] 서울-경기 비교, 투자처 찾는 실전 팁이 가득했던 양파링님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이번 강의는 단순한 정보 나열이 아니라,

실제로 임장보고서(임보)나 시세분석, 학군·생활권·환경 분석 등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전적인 팁들이 가득했어요.

 

느낀 점

가장 인상 깊었던 건, 서울과 경기 지역을 비교하는 구체적인 접근법이었습니다. 막연하게 서울은 비싸고, 경기도는 저렴하다는 식의 이분법이 아니라, 전고점을 넘지 않은 지역을 중심으로 '좋은 걸 골라 사야 한다'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특히 생활권을 평단가와 랜드마크 시세로 구분하는 방법, 그리고 생활권별 선호도 정리 방식은 그동안 제가 헷갈려 하던 부분을 명확히 잡아준 내용이었습니다. 매번 임보 쓸 때 막막했던 생활권 분류에 기준이 생긴 느낌이에요.

또한 전화하고, 물건 보고, 투자할 수 있는 가격으로 정리하자는 멘트는 단순한 말이지만, 투자에 대한 태도를 다시 한 번 다잡게 해주었습니다.

 

적용할 점 (BM 리스트)

이번 강의에서 특히 BM하고 싶은 내용들이 많았는데,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BM1. 시세 분석
    생활권별, 연식별, 평형별로 가격대를 정리하는 방식 → 다음 앞마당 작성 시 꼭 적용해보고 싶어요.
  • BM2. 학군 분석
    고교 진학률(과고, 외고, 자사고 등)을 기준으로 한 분석 → 단순 학군지 여부에서 한 단계 깊어진 분석이 가능할 듯합니다.
  • BM3. 초등학교 분석
    저학년 대비 고학년 학생 수 평균값으로 증감 확인 → 수요 변화 파악에 유용할 듯!
  • BM4. 환경 분석
    상권의 크기, 종류, 대학병원 병상/근무자 수 등으로 입지 분석하는 방법 → 다음 임보에 꼭 넣어보고 싶습니다.
  • BM5. 공급 정리
    공급지도를 깔끔하게 정리하는 방식도 눈에 확 들어와서 정말 인상적이었어요.
  •  

마무리

이번 강의는 단순히 '듣고 끝나는' 강의가 아니라, 내가 지금 하고 있는 부동산 분석 방식 자체를 레벨업 시켜주는 강의였어요. 강의에서 배운 내용들을 하나씩 제 투자 분석에 적용하면서 점점 더 디벨롭 해볼 계획입니다.


댓글


마머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