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마련 중급반 1강 강의 후기[내집마련 중급반 5기 89조 부자마인드93]

내집마련 중급반 강의 앞 부분에서 기초반(실거주)내용 정리를 다시 한 번 해주시고 중급반 본 강의가 진행이 되어 1강부터 유익했었습니다.


<내집마련 기초 7단계>

1단계 : 방법 선정(일반매매, 청약, 경매 또는 공매) → 청약, 경매는 현실적으로 힘들어 일반매매로 결정!

2단계 : 예산 수립(종잣돈, 대출금액) → 원리금 상환액 < 저축액*2/3

3단계 : 후보 선정(예산에 맞는 지역, 젊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지역, 일자리가 많은 곳, 입지가 좋은 구축)

4단계 : 지역 조사 및 입지분석(학군, 교통, 편의시설, 직장 / 24평 위주)

5단계 : 매물조사(부동산 연락 : 목요일(부동산 문닫기 전 9시쯤) / 방문 : 토요일)

6단계 : 현장조사(학군 - 평일 오후 초등학생 마치는 시간 맞춰서 해당 아파트 단지까지 이동경로 안전한지 확인 / 아파트 단지 인근 유흥시설 존재여부 확인 등 / 교통 - 아파트단지에서 걸어서 지하철역까지 소요시간 확인)

7단계 : 거래 전 확인(협상 - 매도자 심리 및 상황 파악하여 적절하게 네고요청 , 너무 내입장만 생각하지 말기 / 계약금 10%, 중도금 40%(매수 우위일땐 중도금 생략 가능), 잔금 50%, 등기(법무사비용 - 중개사 소개로 25만원 맞춰달라 하기), 인테리어 최소 3군데 알아보기(평당 200)


<1주차 주요 개념 정리>

1.대상: 아파트 300세대 이상

2.평형: 24평

3.매매가: 현재 시점 중층(저층 제외)이상 네이버 호가중 가장 낮은 매매가

4.전세가: 네이버 호가중 가장 낮은 전세가와 시세/실거래가 상한가중 낮은것 쓰기)

5.전고점: 특수하게 높은 하나의 거래를 제외하고 가장 높게 거래된 가격

6.전저점: 전고점 이후 기간 중에서 두번째로 낮은 가격(가장 낮은 가격은 직거래 및 저층 일 수 있으므로 제외)

7.최대하락률: 전고점 대비 전저점까지 하락률

8.상승률: 전저점대비 현재 네이버 매도호가 상승률

9.하락률: 전고점 대비 현재 네이버 매도호가 하락률

10.세대수 적어 매물없거나, 신축이라 전고점 및 전저점 거래 없을경우 공란

11.지방에 사는 사람의 현명한 내집마련 : 해당도시 내 선호도 높은 신축에만 거주 또는 서울에 집 매수해두고 지방 전월세 거주 → 거주하는 동안 가격 빠지면 새 아파트로 갈아타기 + 입지 좋은것만 골라서 사야하고 사람들이 싫어 하는 것 사면 안됨(고바위, 언덕 등)

12.수도권 사람들의 현명한 내집마련 : 지방만큼은 아니라도 이왕이면 선호도 높은것을 고르기(신축, 서울, 교통환경 갖춰진 경기도 등)


1강의 내용중 제일 기억에 남았던 것은 '가진 돈이 적다면 애매하게 입지 떨어지는것 사느니, 투자거주 분리하는것이 더 좋을 수 있다'라고 말씀하셨던게 마음을 심쿵하게 하면서도 너무 공감이 갔습니다!

너나위님이 알려주신 내용 그대로 받아들이고 바로 실천하겠습니다^^


현재 예산에 맞는 단지와 종잣돈+1억을 했을때 매수 고려해 볼 수 있는 단지들을 엑셀로 정리할 수 있어 편하고 유익한 것 같습니다!네이버 시세 알람 설정해두고 가격 변동시 엑셀 수정하면서 내 집마련 하겠습니다^^


댓글


부자마인드93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