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강 후기
적용 할 부분 - 연도별 인구이동 과정, 구별 대표 키워드로 특징 파악, 직장 절대적인 양 & 종사자수 증가량 더블체크 (kosis) - 입주물량 많아짐 > 전세가 down 매매가 down > 입주물량 해소 > 전세가 up > 매매가 up - 기본적으로 매전차가 큰 것이 좋은 매물(?) - 전세가율에 따른 하락장/상승장 흐름 하락장 상승장 초기 진행 초기
지방투자 기초반 3강 후기
적용 할 부분 구별로 대표 생활권 / 차순위 생활권 및 구 특징 표시 학군 > ㅊㄷㅎㄱ ㅎㅅㅅ (20↑, 1000↑), 중소도시는 ㅁㄹ ㅎㄱㅈ check 공급과 가격의 연관성 > 앞으로 공급 예정 흐름과 비슷한 과거 공급 체크 > 구별로 연도별 상승/하락 여부 체크 > 지도에 공급위치 올려보고 가격흐름과 매칭해보기 (p.101-105), 공급 캘린더에 영향
2강 후기
적용 할 부분 네이버 부동산 매물갯수 트래킹 할 것 생산성과 GRDP 지표 참고 생활권을 개발 연도별로 크게 구분하여 나누기 (80~90', 90~10', 13'~) 세대당인구수 & 인구연령비 교집합 체크 업종을 나누어 지역지도에 매칭해보기 (공공행정/금융업/제조업 등) kb부동산앱 - 배정학교 꿀정보 공급 - 매전 흔들렸던 시기 > 과거 대표 공급 시기

1주차 강의 후기
이전 지기 때는 ㄱㅇㅅ 위주로 강의 진행이 되었는데 이번 지기는 ㅈㅅㄷㅅ로 진행되었다 ㄱㅇㅅ의 땅의 가치 : ㄱㅈㅈ로써의 매력 Q. B지역도 ㄱㅇㅅ의 위상, 특징을 따라갈까? 규모가 있는 ㅂㅅ, ㅊㅇ 인근에 위치해있어 인구를 흡수하는데 ㄱㅈㅈ로 택할 만큼의 매력이 있는 도시일지 랜드마크 전고점만 봐도 ㅇㅅ, ㅊㅇ이 비슷함 ㄱㄱ 그래프 : 후분양제도 ㄱㄱ물량

지방투자 기초반 4강 후기
그동안의 강의를 한번에 요약 정리해주셔서 좋았습니다. 분명 다 들었던 내용인데 순간 내가 배웠던 내용이 맞나? 라는 생각이 들며 배운 것은 생각보다 휘발성이 강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어요. ** 다음 강의 듣기 전까지 다시 한번 복습할 것! 지방이라는 큰 틀은 같아도 지역마다의 특성에 따라 투자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앞마당을 많이
3주차 수강 후기
투자지역을 판단할 때 기준을 추가하여 적용하면 좋을 것 같다 - 미분양 증감 추이를 파악하여 투자 시기를 판단하는 것 - 전세 상승액을 미리 예상하고 투자하는 것 양보다 질도 좋은 말이지만, 지역 성장에 절대적인 유입도 중요하다고 생각됨 소득이 높은 편이나, 소비까지 이어지는지 체크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