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용 할 부분

  • 네이버 부동산 매물갯수 트래킹 할 것
  • 생산성과 GRDP 지표 참고
  • 생활권을 개발 연도별로 크게 구분하여 나누기 (80~90', 90~10', 13'~)
  • 세대당인구수 & 인구연령비 교집합 체크
  • 업종을 나누어 지역지도에 매칭해보기 (공공행정/금융업/제조업 등)
  • kb부동산앱 - 배정학교 꿀정보
  • 공급 - 매전 흔들렸던 시기 > 과거 대표 공급 시기 그래프에서 매칭해보기

    ex. 18-20' [#]지구 [#]세대 입주했었는지

  • 호재 추가해보기!
  • 평단가 - 다른 중소도시와 같이 비교해 볼 것 (대표 랜드마크와 같이)
  • 가격대별 > 생활권을 크게 나누고 > 생활권 내에서 대표 랜드마크 시세 정리
  • 지역을 투자할 때 해당 지역의 선호도 요소가 무엇일지? (ex. 환경 ≥ 연식 > 학군)
  • 현재의 갭만 보지말고 시세 흐름을 가로로 보기! (꾸준히 우상향하는지) > 가치투자로 연결

댓글 0


부린부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