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소득파이프를 통해, 월 400~600만원 안정적인 부수입을 올리며, 9년만에 순자산 20억을 만들며 경제적 자유를 향해 걸어가고 있는 은퇴연구소 입니다.


대표글

3

전문가칼럼

20억 벌게 해준 가계부 (무료로 나눠드립니다)

1편을 안보신 분들은 먼저 1편부터 보고오시면 아래 글을 읽는데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https://weolbu.com/s/E28nGeCm0A    흙수저가 어떻게 9년만에 20억을 모았냐구요? 송구하지만,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그냥 열심히 벌고, 모으고, 불리는 걸 꾸준히 반복했을 뿐… 특별한 노하우는 없습니다.  2016년도 가계부 시작할 때 저희 부부의 재무목표2016년 엘베없는 구축 빌라 전세 풀대출로 시작할 때, 월 350만원 저축해서 내집마련 해보자고 아등바등 모으기 시작했는데,  2022년 정산 자료 2022년부터 거의 2억원에 가까운 저축을 했고, 25년 현재 약 9년이 지난 현재 시점 순자산 기준 20억 정도 모은 것 같습니다. 그 동안 블로그로 직장인 월급 수준의 소득파이프도 만들고 (월 400~600만원), 아파트도 두채 등기치고, 상가 하나 사고, 해외부동산 매매도 해보고, 배당주에 4억정도 박아서 배당금도 받고 있고… 정말 벼라별 투자는 다 해봤습니다.  흙수저 부부가 어떻게 이렇게까지 할 수 있었냐구요? 비결이 뭐냐구요?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특별한 건 없었습니다. 그나마 노하우로 하나를 꼽자면, 9년동안 한번도 빠짐없이 쓴 가계부정도요…?   무슨 가계부냐구요? 저희 부부는 엑셀 가계부를 씁니다. 사실 엑셀로 가계부를 쓰나, 어플로 가계부를 쓰나 큰 차이는 없습니다.​​편리성으로 따지면 어플이 압도적으로 좋죠. 하지만 개인적으로 엑셀 가계부를 추천하는데, 그 이유는 두가지 입니다.​​① 수입 - 지출 - 저축의 규모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커스텀마이즈 하므로)② 하나하나 쓰면서 소비를 곱씹고 재무플랜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준다 (의도적인 불편함)​​가계부를 쓰는 건 단순히 지출을 통제하는 것을 넘어, 본인 가계의 수입 지출 저축 규모를 명확히 알 수 있다는 순기능이 있습니다.​​통제 가능한 지출과 불가능한 지출을 구분하고, ​​최대한 상환 가능한 대출의 한도는 얼마인가 (이게 은행의 DSR과 직결됨), 투자 가능한 자본을 토대로 예상 수익 N%를 기준으로 얼마 만큼의 자산을 만들 수 있는가 등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됩니다.​​기업체에서 재무상태표를 만들어 공시하는 것 처럼 우리집 재무상태표를 만든다는 생각으로 접급하면 엑셀 가계부는 자산 증식의 좋은 수단이 됩니다. 편하게 어플로도 할 수 있겠지만, 쉬운 만큼 금방 휘발되기 쉬우며, 현재 어플 가계부의 경우 틀에 박혀 있기 때문에 나에게 커스터마이즈해서 가계부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저희 부부가 쓴 가계부 (16~19년은 시트로 보관중)   가계부를 공유해드립니다.   보시는 것 처럼 초반에는 세팅을 좀 해야 됩니다.  부부가 쓰신다면 각각 이름으로 통신비, 보험, 교통비, 용돈 등 텍스트로 써 넣으면 자동으로 합산되도록 만들어 뒀습니다. 함수에 대한 설명도 다 써놨으니, 엑셀만 좀 다루실 줄 아시면 금방하실거예요!   이렇게 세팅해면 현금과 카드로 얼마나 썼느지 자동합산됩니다.    마지막에 지출 내역과 세부내역이 맞으면 TRUE로 표시되면서 최종 정산이 되구요  매일 쓰면 좋겠지만, 저희도 사실 매일 쓰지 못합니다. 일주일에 하루 정도 같이 책상앞에 앉아서 서로 얼마를 지출했고, 얼마가 모였는지 체크하면서 건설적인(?) 재무 설계도 하고 그러는데, 카드지출은 카드사 홈페이지 가서 내역 쭉 엑셀다운 한다음에 그대로 붙여넣고, 현금 사용은 은행 홈페이지가서 하나하나 써서 넣습니다. 일주일치 입력하는데 대략 10~15분 정도 걸리구요   가계부를 GET 하는 방법 팔로우하기아래 네이버폼으로 신청하기마지막! 신청완료! 라고 댓글달기  https://naver.me/5b0a7FSM  이렇게 해 주시면, 1~2일 뒤에 메일로 보내드릴게요 :)  ※ 추가로 기존에 댓글로 메일 주신 분들 중 못 받으신 분들이 있다면 네이버 폼으로 다시 신청해주세요! 보내드린다고 보내드렸는데 누락되셨을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더보기 ∙ 1개월 전

4,821

61

566

전문가칼럼

부동산 없이 9년 만에 순자산 20억을 만들었다고?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시작 된 월부에서 부동산 없이 9년 만에 순자산 20억을 만든 이야기를 하려니 뭔가 쑥스럽네요; 하지만 제 주력이 소득파이프 (블로그)이니, 이 이야기는 안할 수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첫번째 연재하는 칼럼이니 제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그 시작이 뭘까라는 고민에서 제목을 위와 같이 정했답니다.  2016년, 썩빌 1.6억 전세 풀대출 2016년 결혼 후 처음으로 둥지를 튼 곳은 다 쓰러져가는 공릉동 썩빌이었습니다. 결혼을 염두에 두고, 제가 먼저 들어와서 살았던 신혼집이라 애정도 많았던 집이었는데, 썩빌이었지만 나름 5층 주인세대 비슷한 (5층엔 2가구 거주) 곳으로 셀프로 도배하고, 문도 다 뜯어내서 페인팅까지 했을 정도로 애정을 쏟았습니다. 물론 당시엔 돈이 없어서 전세금은 1억 6천만원 중 거의 거의 대부분을 전세자금대출로 충당했지만요  당시 가계부 중 일부 발췌 당시 가계부를 찾아보니, 저희 부부의 월 저축액 목표는 350만원이었네요 (1년에 약 4천만원씩 저축)  맞벌이 부부다 보니 나름 모을 수 있는 여력이 됐었고, 꼬박꼬박 돈을 모아 전세자금대출부터 상황을 했었습니다 (당시에도 1~4월 모은 돈 1,280만원으로 대출부터 갚았네요 ^^;;)   16년 순자산 1.18억 2016년 11월 당시 총자산 2.56억에 은행 전세대출 약 1.19억과 연금, 청약 등을 제외한 가용한 현금성 순자산은 정확히 1.18억원 이었습니다.  그렇게 매월 300~400만원씩 저축하면서 대출을 갚아나갔고, 2018년 퇴거 때는 아파트로 이사가기 위해 이래저래 각을 쟀던 기억도 생생합니다.    당시 집주인에게 보냈던 내용증명과 제가 살았던 썩빌 그런데 그랬던 전세기간 만료 이후 퇴거하려고 봤더니, 집은 법인 소유였고 법인 대표인 꼬장꼬장한 주인 할아버지는 새로운 임차인 구하기 전까진 절대 돈을 못준다며 배째라를 시전했습니다. 심지어 그 집은 불법건축물이었구요 (베란다 불법 확장 - 거실에서 확장된 베란다로 폼롤러가 데구르르 굴러다니는…) 그래서 부동산계의 빨간줄이라는 임차인등기를 셀프로 하느라 북부지법도 다녀오고 생 난리를 쳐서 겨우겨우 퇴거했었습니다. 소송 준비하면서 당시 통화내역 녹음하고, 증거 첨부를 위해 녹취록 작성하고 진짜 마음고생 심했던 기억이 나네요 (내 집 없는 설움을 이때 가장 많이 느꼈던 것 같습니다)   2025년, 순자산 20억 달성 9년이 지난 현재 부채를 뺀 순자산은 20억 정도 됩니다.   아파트 등기권리증 상급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서울 역세권에 30평 아파트 한채, 지방에 1채, 상가 하나, 주식으로 약 4~5억 가량 굴리고, 연금 (제 개인연금) 및 노란우산공제 (와이프) 등 탈탈 터니 20억 정도 되더라구요 처음 서두에서 부동산없이 라고 말씀드렸던 건 부동산으로 번 돈은 거의 없었기 때문입니다. 제가 산 지방 아파트는 거제 아파트로 매입가 보다 현재 실거래 및 호가가 더 낮은 상황이고 (손해죠;)  서울 아파트는 20년 8월에 부대비용 포함 10억 좀 넘게 주고 사서 (매매가는 9억 후반) 현재 12억에 실거래되고 있으니 사실상 연평균 4% 오른 셈으로 물가 상승을 겨우 헤지한 정돕니다  그러니 따지고 보면 부동산으로 큰 돈은 만지지 못한 셈입니다.  국장 4억과 25년 4월에 받은 배당금 천만원 주식 같은 경우 국장에서는 4억정도 굴리고 미장에서는 3~4천만원 정도 굴리는데 배당주 중심으로 굴리고 있고, 25년도에는 (24년 연말 배당기준일 배당금) 세금 떼고 1천만원 정도 배당금이 들어왔네요 사실 주식으로도 큰 재미는 못 봤습니다.  많이 벌어야 연에 1~2천만원 정도 시세차익 남기고 배당금으로 1천만원 버는 수준이니까요 (그마저도 24~25년에는 배당 말곤 오히려 마이너스네요…핫핫;;)    20억 달성의 비결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단 9년만에 부채를 뺀 순자산 기준 1.2억 → 20억으로 점프업을 할 수 있었냐구요? 그냥 미친듯이 모았습니다. 아까 2016년 목표가 월 350만원 저축 (연 약 4천만원) 이었다고 말씀드렸는데, 19년부터 본격적으로 저축액을 늘리기 시작해서 2022년부터는 1년에 거의 2억을 저축했습니다. 2억 번게 아니라 2억 저축이요… (정확히는 1억 9천이고 매년 그정도 금액을 저축하고 있음) 물론 그 돈을 은행에 예금으로 넣어둔 건 아닙니다. 가계부에 잉여금으로 기록 된 모든 돈들은 차곡차곡 모아뒀다가 집사고, 상가사고, 주식사는데 다 썼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벌어도 늘 부족했었죠 그렇게 2025년 현재까지 모은 순자산은 20억 정도 됩니다.   흙수저 맞벌이의 2억 저축 방법 연에 2억 저축했다는 이야기를 하면 주변에서 깜짝 놀랍니다. 실제로 연봉 5억정도 된다고 하더라도 세금과 4대보험 떼면 실수령액은 2.5억정도… 이 중 허리띠 졸라메 연에 5천만원만 쓰고 모든 돈을 다 저축해도 2억원이니까요 매년 2억씩 저축한 비법에 대해 이야기 하려면 이 지면을 꽉 채워도 부족할 것 같아,   그건 2부에서 다시 말씀드릴게요 :)

...더보기 ∙ 1개월 전

12,775

83

53

전문가칼럼

연 2억원 저축의 비밀 (일꾼이 4명)

1부와 이어지는 내용이라, 제 첫 칼럼인 1부 “부동산 없이 9년 만에 순자산 20억을 만들었다고?” 먼저 보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연 2억원 저축 1부에서 말씀드렸던 것 처럼 저희 부부는 22년부터 연 2억원 가량을 저축하기 시작했습니다.   엑셀 가계부2016년부터 지금까지 한번도 빼먹지 않고 9년째 가계부를 쓰고 있는데 (16~19년은 20년 엑셀파일에 시트로 있음), 22년 부터 연간 2억에 육박하는 저축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22년 연말 가계부 정산표 정확히는 1억 9,282만 6,230원이네요 어떻게 평범한 부부가 이렇게 저축을 할 수 있었냐구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돈 버는 일꾼을 여럿 만들면 됩니다. 저희 부부는 그걸 ‘소득파이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돈을 버는 메커니즘 태생이 부자면, 뭐 이런 걱정 안하셔도 될 겁니다. 그렇지 못한 99%의 일반인은 죽어라 노력해야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수 많은 그들 중 한명이구요. 다만, 저는 거기서 좀 더 나아가 “시간 부자”가 되서 내 시간의 주인이 되고 싶은 욕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9 to 6 (실상은 이것보다 더 되겠지만)에 얽메이지 않고, 아이들 등하교 시키고 내가 원할 때 하고 싶은 것들을 할 수 있는 주체적인 삶이요.  아마 월부 칼럼을 보시는 분들이라면 저와 비슷한 분들이 많으시겠죠…:) 하지만 일반적인 직장인이나 자영업자의 경우 이런 삶은 언감생심입니다.   이 한장에 모든 설명이 다 들어 있음 일반적인 직장인이든 자영업자든 본인의 시간을 갈아 넣어 돈을 법니다. (시간을 돈으로 환가하죠) 그리고 그 근로소득 (aka. 원화채굴)을 통해 저축을 하며 투자할 시드를 모읍니다. 그러면서 점차 자본소득을 늘리겠죠. 이와 근로소득을 병행하니 스노우볼 효과처럼 소득의 크기는 점차 커질 겁니다. 그런데 정말 운이 좋아서 투자가 대박나지 않는 한 생각보다 그 스노우볼의 크기는 쉽게 커지지 않습니다. 아주 운이 좋게 15~16년도 서울 아파트를 사서 21~22년도에 팔고, 23년도 저점에 기가 막히게 상급지 아파트로 갈아타서 25년 현재의 불장을 관망하는 행운아가 아니라면 말이죠   4명의 일꾼 그래서 저희 부부는 근로소득과 함께 더 빨리 투자의 시드를 모을 수 있는 소득파이프를 만들기로 결심합니다.  그렇게 만든 블로그가 지금의 “은퇴연구소”였고, 한때 월 천만원 넘게 벌어주던 블로그가 부스터 역할을 하면서 자본의 크기를 키워줬으며, 그 사이 제 근로소득과 와이프의 사업소득은 계속해서 커졌습니다. 근로소득 (직장인)사업소득 (세무사)블로그소득 (잘 벌땐 월 천)자본소득 (배당, 월세 등) 이렇게 4명의 일꾼이 불철주야 일을 하고 있습니다.  뭐야! 전문직이 껴있네! 반칙이잖아! 라고 생각하실수도 있는데, 사실 22년 연 2억 저축을 시작했던 당시 와이프의 소득은 제 소득보다 약간 더 높은 정도였습니다. (일반적인 맞벌이 소득보다 약간 더 많은 수준이라고 보시면 될 듯…) 세무업계도 워낙 영업이 심해서 잘 버는 분들은 연에 수억을 벌지만 못 버는 분들은 일반 직장인 수준이거든요; 여튼 저와 와이프는 주중에만 돈을 벌었지만, 블로그와 자본소득은 밤낮, 주말 할 것 없이 저희에게 수익을 가져다 줬습니다. 1~3번으로 꾸준히 수익을 창출해서 자본을 쌓으니 또 4번 (자본소득)에서 월세나 배당이 꾸준히 나오기 시작했고 결국 4번도 또 하나의 일꾼이 되더라구요.   24년도 배당소득 (25년 입금) 따박따박 매년 천만원 가량의 주식 배당소득이 들어오고, 그 밖의 상가 월세도 들어오니 4번도 밤낮없이 일하는 일꾼입니다.  시간부자가 되기 위해선 궁극적으로는 4번 일꾼을 육성 해야겠죠. 그리고 4번이 1~3번을 역전하는 순간 그땐 진짜 경제적 자유를 누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운이 좋았던 블로그  3개 타이틀을 다 가진 경제&비지니스 인플은 10명이 안될듯 저는 운이 좋게 네이버에서 경제&비지니스 분야 이달의 블로그 + 올해의 블로그 + 인플루언서 3가지 타이틀을 모두 달았습니다.     그러면서 “부의 지식사전”이라는 책도 출간했고, 매일경제 유튜브 등에도 출연했으며, 네프콘에 블로그 수익화 관련 글도 게재하는 등 다양한 활동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게 저의 수익 파이프 라인이구요. 2015년부터 수익화를 시작해서 21년도에는 블로그 하나로만 월 천만원을 찍기도 했으며 그 이후 현재는 월 400~600만원 정도의 안정적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협찬, 체험단 등을 제외한 오로지 현금 수익)   블로그 수익, 매출 = 순수익 블로그의 경우 원가가 없기 때문에 세금을 제외하면 사실상 100% 수익입니다 (애드포스트든 CPA든 원고대행이든 3.3% ~ 8.8% 세금을 떼고 받음) 물론 지금 월 천만원씩 찍지는 못합니다.  블로그는 상위노출이 핵심인데, 무분별한 광고 (CPA 및 원고대행)은 저품질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그러면 월천 찍던 수익이 0원에 수렴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되는데,  그땐 수익에 취해 멋 모르고 막 저질렀던 때였거든요 (다행히 운이 좋게 저품에 걸리진 않았습니다) 여튼 2015년 작은 수익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10년째 안정적으로 수익을 내면서 단 한번의 저품질 없이 소득파이프로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 목표는 블로그를 연금과 같은 소득파이프로 만드는 거거든요)   블로그가 진짜 그정도 수익이 되나…? 많은 분들이 네이버 블로그는 치킨 값 정도 아니냐고 말씀하시는데,  어느정도 궤도에 오르면 꽤 수익이 됩니다. (물론 그 궤도에 오르기까지가 정말 고통스럽죠) 앞으로 월급쟁이부자들 전문가 칼럼에서 제 실제 수익을 공유하면서 어떻게 수익을 창출했는지 알려드리려 합니다. 그리고 신생 블로그가 과연 이정도 궤도까지 오르려면 얼마나 걸리는지 현실적인 숫자도 같이 보여드리려 합니다. 저도 2024년에 신생 블로그를 하나 파서 서브로 키웠었는데 그 블로그의 실사례를 들어 설명드려볼게요! 앞으로의 글들도 기대해주시길…. :)  ※ 보통 블로거의 경우 실제 본인 블로그는 까지 않고, 수익만 공개하는데 저는 제 블로그를 다 깝니다. (수익도요!) 네이버에 은퇴연구소를 검색하시면 제 블로그가 뜨고, 실제 매월 수익을 공유하고 있으니 쉽게 찾아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아래는 제 네이버 블로그 링크입니다)  https://blog.naver.com/meaning87/223809528883

...더보기 ∙ 1개월 전

1,560

2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