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제목 : 불변의 법칙
저자 : 모건 하우절
읽은 날짜 : 2024. 4월
핵심 키워드 : #불변
도서에 대한 점수 : 10점
책 소개
돈의 심리학의 저자 모건 하우절의 책으로 결코 변하지 않는 23가지 법칙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전체적인 책의 맥락은 앞으로 결코 변하지 않는 것들에 집중하면 세월이 흘러도 유의미한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내용 및 줄거리(본&깨&적)
[15 모든 여정은 원래 힘들다-목표로 삼을 가치가 있는 것에는 고통이 따른다. 중요한 것은 고통을 개의치 않는 마인드다 / p274]
본 : 모두가 지름길을 원한다. 기술 발전이 결과물을 얻는 속도에 대한 우리의 기대치를 높여놓은 탓이다. 우리는 빠르고 쉬운 길에 혹하기 쉽다. 고생하지 않고 성공할 수 있을 것 같으니까. 하지만 그런 길은 거의 없다.
찰리 멍거는 이렇게 말했다. “원하는 것을 얻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그것을 누릴 자격을 갖춘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황금률이다. 사람들에게 뭔가를 제공할 때에는 당신이 상대방이라 해도 만족할 만한 것을 제공하라.”
만일 자기 직업에서 하는 일의 절반만 즐길 수 있어도 그것은 대단한 일이다. 그런 사람은 매우 드물다. 모든 것에는 비용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게 현실이다. 어떤 일에든 싫은 측면이 있기 마련이다.
대법원 판사도 자기 일에서 싫은 부분이 있다. 대학 교수도 참석하기 싫은 회의에 참석해야 한다. 모든 직업에는 싫은 면이 있을 수밖에 없다. 그것도 직업의 일부다.
깨&적 : 원하는 것을 얻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그것을 누릴 자격을 갖춘 사람이 되는 것..그런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마땅한 비용을 치룰 수 있어야 합니다. 가치가 있는 일에는 비용이 따른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치러야할 비용이 가끔은 너무 버거워서 지름길은 없나..조금 더 효율적인 길이 있을 것 같은데...를 생각하곤 했었습니다.
가치가 클수록 값비싼 비용을 치러야 한다! 힘든길이 오히려 옳은 길이다! 라는 이 변하지 않는 불변의 법칙을 다시 새기니 오히려 그냥 해야하는거구나라는 심플한 답이 생겼습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명심하자...
[20 겪어봐야 안다-직접 경험하는 것만큼 설득력이 센 것은 없다 / p348]
본 : 나는 엄청난 성공을 이룬 뒤 남들이 상상하는 것만큼 큰 행복을 느끼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성공이 자부심이나 만족감, 자유를 가져다주지 않는다는 말이 아니다. 실제로 성공한 뒤에 느끼는 것, 그리고 자신의 반응은 성공하기 전에 상상한 것과 다른 경우가 많다는 얘기다.
배우 짐 캐리는 말했다. “나는 모든 사람이 부자가 되고 유명해지고 꿈꾸던 걸 이뤘으면 좋겠어요. 그래야 그게 답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을 테니까요.”
성공과 명예를 얻은 뒤 어떻게 반응할지 예상하기 힘든 것도, 반대로 리스크가 현실이 됐을 때 어떻게 반응할지 예상하기 힘든 것도 결국은 같은 이유에서다. 직접 겪어보기 전까지는 그 상황 안에서 일어날 감정적, 심리적 반응을 완벽하게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미래의 성공과 행복을 상상할 때 현실적 측면은 쏙 빼놓고 이상적인 그림만 그린다. 그러나 실제로 삶에서는 언제는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뒤섞여 공존하면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
깨&적 : 며칠 전 어린이날, 어버이날을 가족들과 함께 보내며 부모님 댁을 방문했습니다. 바쁘단 핑계로 잘 찾아뵙지도 못하고 너무 죄송했어요..부모는 왜 늘..자식을 이해하고 기다려야할까요..“바쁘지..”하면서 오히려 다독여주시는 마음에 죄송하고 가슴이 뭉클했습니다. 어머니가 그러셨어요. “OO야..지금이 제일 좋은 때야..지나고 나면 아무것도 아니더라”그 말에 어떤 의미들이 담겨있었을까요..책에서 얘기했듯이 겪어봐야 완벽하게 이해합니다..꼭 그런 것 같습니다. 이루고 싶은 미래는 꼭 지금보다 행복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현재를 희생하려 합니다. 그때마다의 또 고민이 있을텐데요..
노력한다면 미래는 부를 안겨 줄수는 있겠지만 그로인해 당연히 행복함이 따라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새기며 현재에서 행복을 샅샅히 찾고 느끼자!생각했습니다.
댓글
벨라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